•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김장 김치, 작년보다 줄이겠다" 36% 응답..."중국산 안 사" 96%

농촌경제연구원 조사, 금배추 부담에 '12월중순으로 늦추겠다' 늘어
중국산 대량수입불구 일반 소비자들은 '중국산 배추' 구매 의향 없어

 

올해 기록적인 폭염으로 배추 가격이 고공행진 하자 소비자 10명 중 4명은 작년보다 김장 규모를 줄이려는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소비자 550명을 대상으로 지난 10∼14일 온라인 조사를 진행한 '김장 의향 조사'에 따르면, '작년보다 비슷하게 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54%로 가장 높았다. 다만 '작년보다 증가할 것'(10.0%)보다는 '작년보다 감소할 것'(35.6%)이란 응답의 비율이 높았다.

 

김장 의향 감소 이유로는 '김장 비용 부담'(42.1%)이 가장 높았고, '가정 내 김치 소비량 감소'(29.8%), '시판 김치 구매 편리성'(15.2%) 등 순으로 나타났다. 4인 가족 기준 배추 김장 규모는 18.5포기로, 작년(19.9포기) 및 평년(21.9포기)보다 감소했다. 무는 8.4개로, 전년(8.5개)과 평년(8.6개) 대비 소폭 줄었다.

 

배추 가격 부담에 김장 시기를 늦추는 소비자도 늘었다. '11월 하순 이후 김장하겠다'는 응답은 62.3%로, 작년(59.6%)보다 늘었다. 구체적으로 11월 하순(29.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11월 중순(22.9%), 12월 상순(21.6%) 등 순이었다.

 

특히 12월 중순 이후(11.5%) 김장하겠단 응답이 작년(8.6%)보다 늘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통상 김장 시기는 11월 상순 시작되지만, 배추 가격이 높아 12월 중순 이후 김장하겠다는 의향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올해 김치를 직접 담그겠다는 응답 비율은 68.1%로 작년(63.3%)보다 늘었다. '시판(포장) 김치를 구매하겠다'는 응답 비율은 27.0%로 작년(29.5%)보다 줄었다. 김치를 직접 담그는 이유로는 '가족이 선호하는 입맛 고려'(53.0%), '시판 김치보다 원료 신뢰 높음'(29.6%) 순으로 나타났다.

 

김장배추 구매 형태별 응답 비율을 보면, 절임 배추가 55.5%를 차지했고, 신선 배추는 42.3%, 신선 배추와 절임 배추를 같이 구매하겠다는 비율은 2.2%였다. 중국산 신선 배추를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한다면 구매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는 '없음'이 94%의 비중을 차지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강원도, 강릉 가뭄 대응 2단계 격상…“2주 뒤 큰 피해 불가피”
강릉에 재난사태가 선포된 지 하루 만에 강원특별자치도가 대응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 도는 31일 가뭄 대책 긴급회의를 열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단계 체제로 격상,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는 여중협 행정부지사 주재로 강원도교육청,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석해 분야별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도는 취약계층 물 공급과 소상공인 피해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농업용수 부족에 따른 농작물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리조트·관광지에 절수를 요청했고, 휴교·단축수업 및 급식 대책도 검토 중이다.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홍제정수장은 현재 전국 소방차들이 운반한 물에 의존하고 있다. 주 공급원인 오봉저수지는 저수율이 14.9%까지 떨어지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에 따라 수도 계량기의 75%를 잠그는 제한급수가 시행되고 있다. 도는 전국 살수차 지원, 민간 기부와 자원봉사까지 연계해 총력 대응할 계획이다. 또 9월 1일부터는 현장 관리관을 파견해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신속 대응을 강화한다. 여 부지사는 “현재로서는 뚜렷한 강수 예보가 없어 2주 뒤면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모두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범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