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2일 화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올해 상반기 ‘K-Food+’ 수출 62억 달러...전년 대비 5.2% 증가

올 상반기 농식품(K-Food) 및 전·후방산업(K-Food+) 수출액이 누적 62억1000만 달러를 기록해 호조세를 이어갔다. 라면을 비롯한 쌀가공식품·과자·음료·김치 등이 K-푸드 플러스(K-Food+)의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상반기 농식품 및 전‧후방산업 수출 누적액이 지난해보다 5.2% 증가한 62억1천만 달러를 달성했다고 3일 밝혔다. 특히 농식품은 47억7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세를 보였다.

 

K-푸드 플러스는 농식품에 지능형농장(스마트팜), 농기자재, 반려동물음식(펫푸드), 동물용의약품 등 전‧후방산업을 포함한 것을 말한다.

 

 

농식품 상위 수출대상국은 미국, 중국, 일본으로 나타났다.

 

대미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7억3680만달러를 기록했다. 중국은 7억200만달러로 3.1% 증가했으며, 일본은 엔저 등의 영향으로 7% 감소한 6억7100만달러 수출되며 3위 시장으로 비중이 낮아졌다. 이외에도 유럽, 중남미, 중동, 오세아니아 등에서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면서 1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상반기 수출 상위 품목은 라면, 쌀가공식품, 과자류 등으로 조사됐다.

 

가장 많이 수출된 품목은 라면으로, 전년대비 32.3% 증가한 5억9000만 달러 수출을 기록했다. 특히 K-라면의 최대 시장인 중국과 미국에서는 온라인 채널 입점 및 대형마트 입점 확대로 6월말 누적 수출액 1억달러를 각각 돌파했다. 유럽으로의 수출 역시 상반기 기준 최초로 1억달러 이상 수출됐다.

 

전년대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는 품목은 쌀가공식품이다. 냉동김밥, 볶음밥, 떡볶이 등 쌀가공식품은 상반기 1억3600만 달러 수출돼 지난해보다 41.4% 증가했다.

 

대표적인 케이 푸드인 김치 수출액은 상반기 8380만달러로 전년대비 4.0% 증가를 기록했다.

 

특히 미국에서는 소비자들의 발효․비건 식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달성했다. 유럽에는 상온 보관․유통이 가능한 김치를 선보이고 한국 문화행사와 연계해 홍보함으로써 전년대비 40% 이상 수출이 증가했다.

 

최근 상승세로 전환된 인삼 수출액은 1억5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 인삼은 건강기능식품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올해 초 상대적으로 수출이 둔화됐으나, 지난달 말 전년 대비 상승세로 전환됐다.

 

농식품 전‧후방산업도 상반기 14억4500만달러 수출되며 0.6% 성장세를 이어갔다.

 

수출 상위 품목은 반려동물사료(펫푸드), 동물용의약품, 농약 등으로 파악됐다. 펫푸드는 일본, 대만, 베트남 등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해 역대 최대 실적인 7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동물용의약품은 5월 말까지 8.2% 성장한 1억1080만 달러 수출을 기록했다. 농식품부는 농식품과 전‧후방산업 수출 확대를 위해 부처 간 협업과 대‧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농약은 109.3% 성장해 4억달러 이상 수출을 달성했다.

 

농식품부는 수출 잠재력이 있는 중소기업의 수출 시장 개척을 대기업의 유통 인프라를 통해 지원하는 상생 협약을 확대하고 있다. 또 7월 말 '농산업분야 중소기업 글로벌 역량강화 양해각서'를 체결할 예정이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속옷 저항’ 윤석열 구치소 CCTV 영상 온라인 유출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당시 서울구치소에서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CCTV 영상 일부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2일 온라인상에서 퍼진 19초짜리 구치소 영상에는 윤 전 대통령이 자리에 앉아 특검을 향해 고개를 돌리며 무언가 말하는 장면과 난감해하는 집행관들의 모습도 그대로 포착됐다. 앞서 여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지난 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현장 검증을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 대한 CCTV 등 영상 기록을 열람한 바 있다. 여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은 CCTV 영상 열람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은 속옷 차림으로 누워 집행을 거부하면서 ‘나에게 강제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강력하게 반발했다”며 “그러면서 변호인을 만나겠다고 하는 등 집행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영상은 열람 현장에 참석했던 국회 관계자가 영상을 촬영해 유출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지만, 국회 법사위원 쪽은 영상 촬영 및 유출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법무부 측은 영상 유출 경위 파악에 나섰고,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법적 대응 여부를 논의 중이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