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금융


건설·부동산업 대출 부실지표...저축은행 PF대출 부실 사태 시기 이후 가장 심각

건설·부동산 업종의 기업대출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이 2011년 저축은행 PF대출 부실사태 시기(2011년~2013년) 이후 10여 년 만에 가장 나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금융업권별 건설·부동산업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전체 금융권(은행+비은행)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608조5천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 2022년 3분기(580조8천억원)보다는 4.8%, 2021년 3분기(497조6천억원)보다는 22.3% 늘어난 수치로 지난해 3분기에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이다.

 

건설업과 부동산업 각각 대출 잔액도 작년 3분기(115조7천억원·492조8천억원)가 가장 많았다.

 

특히 2년 사이 비은행권(저축은행·새마을금고 제외 상호금융조합·보험사·여신전문금융회사 합산)의 부동산업 대출 잔액이 155조원에서 193조6천억원으로 24.9% 급증했다.

 

두 업종의 기업대출 연체율 등 부실 지표 수준과 상승 속도는 더 심각했다.

 

작년 3분기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각 5.51%, 3.99%에 달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5년 이후 가장 높을 뿐 아니라, 2022년 3분기(1.77%·1.55%)와 비교해 1년 사이 각 3.1배, 2.6배로 뛰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의 경우 저축은행에서 건설업이 7.34%, 부동산업은 5.97%로 집계됐다. 부동산업은 2018년 4분기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고, 건설업은 2013년 1분기(35.36%) 이후 10년 6개월 만의 최고 기록이다.

 

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연체율(0.58%·0.15%)은 2015년 3분기(3.65%), 2010년 3분기(2.63%) 이후 각 8년, 13년 만에 가장 높았다.

 

은행권의 두 업종 고정이하여신비율(0.92%·0.27%)도 2011년 1분기(10.23%), 2010년 3분기(6.35%) 이후 약 13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양경숙 의원은 “태영건설 워크아웃을 계기로 금융권의 건설·부동산 관련 대출 부실지표를 살펴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며 "2011년 저축은행 PF대출 부실사태 이후 가장 심각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향후 부동산 경기가 호전되지 않는 이상 연체율이 추가적으로 상승할 우려가 있다”며 “금융당국은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이 급등하고 있는 제2금융권의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관리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한국잡지협회, AI 시대 잡지의 가치 와 미래 재조명
AI 시대에 잡지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제 45회 잡지발행인 세미나’가 막을 올렸다 . (사)한국잡지협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는 이번 세미나는 ‘AI 디지털융합시대, 잡지 가치와 미래’ 라는 대주제 아래 12일~ 14일까지 사흘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다. 시저 메트로 호텔 연회장에서 열린 첫날 세미나에는 국내 잡지발행인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은호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대표와 공루친 대만잡지협회 이사장, 이정은 중화민국 대만한인회 부회장이 자리를 함께 했다 . 이날 세미나에서 특별 강연자로 나선 공루친 대만잡지협회 이사장은 대만 잡지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소개했고, 황창연 플랜티엠 전무이사는 ‘AI First 전략, 매거진의 패러다임을 바꾸다’라는 주제로 특별강연을 펼쳤다. 또 김창준 플랜티엠 IMC 총괄 상무는 마케팅 상생방안을 발표했다. 백동민 잡지협회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기술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지만 잡지가 지닌 깊이 있는 콘텐츠, 정보의 신뢰성, 그리고 문화적 영향력은 결코 대체될 수 없는 소중한 자산” 이라며 “이번 세미나가 시대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잡지의 미래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