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경인뉴스


용인시 역사 이래 최대사업인 반도체클러스터 기반시설 공사 ‘순항'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용인반도체클러스터 공사현장 시찰·점검
“2027년 첫 팹 가동할 수 있도록 안전공사에 만전 기해달라”
전력과 용수 등 핵심기반시설 조성에 최선 다해줄 것을 주문

용인시 역사 이래 최대 사업인 반도체클러스터 기반시설 공사가 ‘순항'을 이어 나가고 있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7일 별다른 문제없이 '순항'을 이어 나가고 있는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건설 현장을 찾아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를 격려했다고 용인시가 밝혔다.
 

▲이상일 시장(중앙)이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왼쪽에서 세번째)와 처인구 원삼면 죽능리 일원 반도체클러스터 산업단지 조성현장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 <용인시 제공>

 

이 시장은 이날 처인구 원삼면 독성리에 소재한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전력공사 현장 사무실을 방문해 오는 2027년 상반기 첫 팹(Fab) 가동을 목표로 전력과 용수 등 핵심기반시설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해줄 것을 주문했다.

 

이 자리에는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을 비롯해 시행사인 용인일반산단의 김성구 대표와 시공사인 SK에코플랜트의 이동걸 사업단장 등이 함께했다.

 

이 시장은 “용인의 반도체 생태계를 이루는 핵심축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공사가 본궤도에 올랐다. 여러분의 노고가 많았다”며 “2027년 첫 팹이 완료된다. 첫 팹이 가동되면 용인특례시의 반도체 역량은 더욱 커질 것이고 반도체 생태계 경쟁력은 강화될 것이다. 용인특례시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차질 없이 계획대로 조성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적 지원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장효식 SK에코플랜트 부사장에게 주요 사업별 진행 경과를 보고받은 뒤 처인구 원삼면 죽능리 일원 반도체클러스터 산업단지 조성 현장과 산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수직구 터널을 굴착하고 있는 현장을 차례로 살피고 점검했다.

 

▲이상일 시장이 반도체클러스터 산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직구 터널 공사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용인시 제공>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공사 관계자들에게 “공직자들로부터 공사 진척상황을 보고받고는 있지만 현장을 직접 찾아 확인하니 기반시설 공사가 탄탄하게 잘 이뤄지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며 “공사에 속도를 내려는 욕심보다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공사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지난달 7일 기준으로 토지 보상이 99%, 지장물(소유주 기준) 보상은 76% 마무리된 상태다. 소유권이 확보된 토지엔 벌목공사와 가설시설물 설치를 하는 등 올 상반기 본 단지 조성을 위한 대규모 공사를 앞두고 있다.

 

전력공급시설 공사는 2026년 8월 준공 목표로 지난해 5월 착공해 현재 17% 진행됐고, 공사 기간을 최대한 단축하기 위해 국내에선 처음으로 터널식굴착장비(TBM) 3대를 동시에 투입할 방침이다.
 
용수공급시설 공사는 지난해 말 상생 협약 체결 직후 착공해 2026년 7월 준공을 목표로 정상 추진 중이다. 현재 공사 기간을 줄이기 위해 전 공사 구간을 6개 구간을 세분화해 관로가 지나는 각 지자체가 별도로 시행하고 있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는 사업시행자인 용인일반산업단지(주)가 처인구 원삼면 일원에 약415만㎡ 규모의 부지를 조성하고, SK하이닉스가 120조원을 투자해 총 4개의 반도체 팹을 건설하는 용인시 역사이래 최대사업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택배노조 “한진택배,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
전국택배노동조합 경기지부는 30일 “일방적인 배송수수료 삭감과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을 규탄한다”며 “수수방관하는 원청 한진택배는 각성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과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는 대리점 갑질 구조 개선을 위해 노조법 2조·3조를 개정하라”고 밝혔다. 김찬희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한진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여주대리점에서는 배송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깎고 ‘관리비’라는 이름으로 매달 20만원을 내는 조합원도 있다”며 “그 중심에는 원청 한진택배의 책임 회피와 묵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찬희 본부장은 “한진택배는 실질 사용자인데, 현재의 노조법은 문서상의 계약만 보고 책임 여부를 따진다”면서 “실질적으로 지배·통제하고 이윤을 가져가는 자가 사용자로 인정돼야 책임도 지고, 교섭에도 응하고, 불법도 막을 수 있다”고 노조법 2·3조 개정을 촉구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택배노동자와 대리점의 갈등 뒤에는 돈만 챙기는 택배회사가 있다”면서 “대리점의 부당한 조치의 근본적인 원인은 ‘원청’ 택배회사에 있지만, 택배회사는 이를 나 몰라라 하고 있고, 노동자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