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10명 중 5명 이상 “주말에도 근무”…주 52시간 근무제 무색

부장·임원급에서 주말 근무 많아

 

이달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고 있지만, 직장인 10명 중 5명 이상은 여전히 주말에도 근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비스, 건설업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의 주말 근무가 많았다.

 

20일 잡코리아가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직장인 2,004명을 대상으로 ‘주말근무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3.9%가 “주말에도 근무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들 중 28.4%는 ‘주말에도 근무를 해야 하는’ 업종에 종사하고 있었고, 25.4%는 ‘업무가 많아’ 주말에도 종종 일을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 직장인(62.2%)들의 주말 근무가 여성 직장인(41.4%)보다 더 많았는데(20.8%p), 여성 직장인은 주말에도 일을 해야 하는 업종에 종사하는 경우가 더 많은 반면, 남성 직장인은 업무가 많아서 주말에도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아 차이가 있었다.

 

직급별로 ▲부장·임원급이 68.3%로 가장 많았고, ▲과장·차장급(57.2%) ▲사원급(54.0%) ▲주임·댜리급(48.6%) 등 순이었다.

 

부장·임원급의 경우는 일이 많아서 주말 근무를 했고, 사원급은 근무여건상 주말에도 업무를 하는 업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말 근무 현황은 업·직종별로도 차이가 났다.

 

서비스업종은 근무여건상 주말에도 정기적으로 근무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주말 근무를 한다는 응답률이 48.7%로 가장 높았고, ▲건설업(29.4%) ▲판매·유통업(28.4%) ▲의료·제약업(26.0%)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제조·생산업(37.0%) ▲문화·예술·디자인(32.2%)업에 종사하는 직장인들은 업무가 많아서 비정기적으로 주말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았고, ▲금융·은행업은 주말에 일하지 않는 직장인 비율이 65.3%로 가장 높았다.

 

직무분야별로는 ▲전문직(45.4%)이나 ▲고객상담·서비스직(38.3%)은 업무 특성상 정기적으로 주말 근무를 해야 했고, ▲연구·개발직(47.2%)은 업무가 많을 때 비정기적으로 주말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재무·회계직은 ‘주말에는 일하지 않는다’고 답해 타 직무 분야 중 주말 근무가 가장 적은 직종 1위에 올랐다.

 

한편, 주말 근무를 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직장인 1,080명을 대상으로 빈도를 분석한 결과 근무여건 상 주말 근무를 해야 하는 직장들은 평균 4회 이상(54.6%), 2회(20.4%) 정도 주말 근무했고, 업무가 많아 비정기적으로 주말 근무를 하는 경우는 월 평균 2회(46.3%), 1회(27.3%) 정도로 차이가 있었다.

 

주말 근무를 할 경우 대체휴일이 주어지는지에 대해서는 61.9%가 “대체휴일이 없다”고 답했고, “대체휴일이 있지만, 잘 쉴 수 없다” 20.1%, “대체휴일이 있어 쉰다”는 직장인은 18.1%에 그쳤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