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에 대해 해법을 찾기 위해 국회와 의사들이 머리를 맞댔다.
7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는 정의화 국회의장과 신상진 국회 메르스특위 위원장,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공동주최로 <메르스 사태 어떻게 수습하고, 무엇을 할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인사말을 통해 "말로만 대한민국의 의료가 최상이라고 하지 현실은 일부를 제외하고 평균적인 의료수준은 중진국 수준에 불과하다"고 쓴소리를 했다.
신상진 위원장은 "2009년 신종플루 당시 국회와 학계에서 대책 논의가 활발했지만, 메르스는 대책이 부재하다"고 지적한 뒤 "함께 머리를 맞대고 꼼꼼히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위원장은 이어 "언론에서 메르스 사태의 교훈과 대책을 꾸준히 이야기 하지 않으면 국민들이 곧 잊을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보도해 달라고 기자들에게 당부하기도 했다.
박상훈 대한병원협회장은 "메르스 환자 9명이 불완전한 상태로 에크모에 의존 중"이라며 "1번 환자를 조금 더 늦게 발견했거나 폐렴으로 오진했으면 더 큰 화를 불렀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토론자로 나온 명지의료재단 이왕준 이사장은 "기조발제를 통해 메르스는 개인이나 지도자의 책임을 넘어서서 시스템의 문제"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번을 계기로 의료시스템을 혁신해야 한다"면서 공중보건 콘트롤타워 구축과 관련해서 미국 CDC(질병통제본부)의 성공적인 개혁 사례를 소개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행정과 역학, DB분석, 감시, 실행 기능을 통합해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인력과 예산을 확충하는 한편 위기발생시 '보건계엄사령관' 역할을 한다. 또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연구결과에 대한 대중홍보도 CDC에서 수행한다.
그는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도 차관급 청으로 확대하는 한편, 연구와 실험기능을 통합하고 민간 및 보건소와의 거버넌스 구축, 홍보강화, 연구인력 강화 등을 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복지부 주도의 응급의학 외에 군진의학(軍陣醫學)이 백업(backup)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날 토론회 주제발표자인 미국 국방부 화생방합동사업국 탁상우 역학조사관은 "CDC 각 센터들을 통합해 '오피스'를 만들었다"며 "보고시간은 줄였을지 몰라도 한 단계가 더 추가돼 신속한 의사결정은 어려워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CDC에 요구되는 공중보건 위기대응 핵심역량으로 ①지역별 대비 ②정보공유 ③공중보건 감시체계, 역학조사, 독성 평가 ④공중보건 실험실 역량 ⑤위기대응 공조 ⑥의료인 및 대응인력의 건강과 안전 ⑦위기소통 및 경보 ⑧의료용품 관리 및 배포 ⑨의료용품 폐기 ⑩대규모 환자관리 ⑪비약의학적 구제 및 예방 ⑫지역복구를 꼽았다.
또 9.11테러 현장에도 CDC가 파견됐는데 그 이유는 구조대원들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라고 설명하면서 위기소통을 위해 신속한 결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립중앙의료원 메르스대책본부 권용진 상황실장은 "메르스 사태에서 국민들이 원했던 것은 확산차단, 정보공유, 확진자 치료 등을 꼽을 수 있다며 첫 번째 확진자 판정이 너무 늦었다"고 지적한 뒤 이번을 계기로 ①인력의 경험 보존과 지속훈련 ②재난의료 네트워크 구성과 중심확보 등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환자가 발생하면 일단 가까운 병원으로 이송했다가 거점병원으로 이송해 신속하게 역학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상황 발생시 별도의 음압병동으로 이전해 치료할 수 있도록 감염병 전문병원을 별도로 국립중앙의료원에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별도의 '주머니'가 있는 것이 아니므로 국민들도 건강해지기 위해서 별도의 세금을 낼 각오를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는 www.toronnews.com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