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메뉴

포토뉴스


임플란트 사후관리를 잘 해야 하는 이유는?

임플란트는 자연치아가 손상되거나 혹은 외상 등으로 인해 완전히 상실한 경우, 인공치아로 대체하는 시술이다. 노화가 되어 잇몸 뼈가 약해져 치아가 빠진 경우, 오랫동안 틀니를 사용해왔지만 자주 교체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 인접 치아에 해를 주지 않고 치료를 하고 싶은 경우에 하는 임플란트는 효과적인 치료로 주목 받고 있다.

임플란트 치료를 하게 되면 치조골이 흡수를 방지해 저작능력을 담당하는 턱뼈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식의 온도와 맛, 식감을 더 잘 느낄 수 있어 예전처럼 씹는 즐거움을 회복할 수 있다. 그리고 잇몸과도 잘 어울려 자연치아 못지 않게 자연스러운 심미성을 갖추게 된다.  무엇보다 가장 큰 장점으로 자신의 관리여하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치료방법으로는 턱뼈 내부에 식립 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티타늄 기둥을 고정시키는 1차 수술을 거친 다음, 잇몸 상부를 노출 시키기 위한 2차 수술로 진행하게 된다. 1차 수술은 치아가 빠진 자리에 임플란트가 들어갈 공간을 확보한 후, 인공치아의 뿌리가 될 기둥을 심는다. 그리고 턱뼈에 치근이 튼튼하게 고정시킨 뒤, 치아 머리에 해당하는 보철물을 완성하면 치료가 끝나게 된다.  평균적으로 치료기간은 1차만해도 3개월~6개월 정도 소요되는데, 여기에 뼈이식까지 하게 되면 더욱 장기전에 돌입하게 된다. 이렇게 오랫동안 치료를 받았지만 누구나 반영구적으로 사용하지는 못한다. 그 원인에는 '관리부족'이 있다.

그렇다면 임플란트를 보다 오래 사용하기 위해 사후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치과의사의 구강 교육에 따라 위생관리를 꼼꼼하게 해야 한다. 인공 치아와 그 주위의 잇몸 조직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잇몸 전용 특수 칫솔이나 치실 홀더를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그리고 치과를 내원하여 정기적인 스케일링을 통해 잇몸염증 관리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한 딱딱하거나 단단한 음식을 피하고, 과도한 저작력으로 보철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신경 써야한다. 특히 뼈 이식을 동반한 임플란트 수술일 경우, 금연을 할 수 있도록 권장한다.

원주치과의 28지킴이치과 김동현 원장은 " 사람마다 구강구조와 골밀도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치료 전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과 검사가 있어야 한다. 또한 임플란트는 사후관리에 따라 수명이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얼마나 잘 관리를 하느냐에 따라 임플란트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철저한 치과내원을 통한 정기검진과 환자 자신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라고 조언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민연금연구원, 소득하위 70% 기초연금 '원점 재검토'
정부가 노인 빈곤 완화를 위해 지급하는 기초연금의 수급자 선정 기준을 면밀히 점검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국민연금연구원은 기존 기초연금 선정기준 산출 모형을 정밀 분석하는 연구를 시작하기로 하면서, 제도 개편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4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연구원은 최근 열린 ‘2025년 연구용역심의위원회’에서 ‘기초연금 선정기준 기존 모형 분석’ 과제를 만장일치로 승인받았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보건복지부가 담당해 온 기초연금 선정 기준 연구를 연구원이 이관받아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 산출 방식에 오류가 없는지 철저히 점검하고 향후 제도 개선에 활용하려는 취지다.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 이하인 이들에게 지급되는 사회보장제도로,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이들의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 등을 월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이다. 현행법은 전체 65세 이상 노인의 소득 하위 70%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정부는 매년 소득과 재산 분포를 분석해 이 경계선을 금액으로 발표한다. 이번 연구에서 주목하는 ‘오류 가능성’은 소득과 재산 산정 방식,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