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특례시는 영양사가 없는 소규모 사회복지시설도 올해부터 '맞춤형 급식' 혜택을 받게 된다.
10일 시에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영양사가 없는 100인 미만 어린이집, 사립유치원, 아동복지시설의 급식 영양‧위생 관리를 지원하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노인과 장애인이 이용하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급식소 170곳은 영양사를 두지 못해 체계적인 급식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추진하고 있는 영유아기 어린이 올바른 식생활 교육 현장 모습<고양특례시 제공>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는 지난 2월 관련 조례를 개정하고 복지예산 16억 7000만원을 편성하여 '고양시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는 소규모 어린이 급식소와 취약계층(노인·장애인 등) 대상 사회복지시설 급식소에 △맞춤형 식단 및 레시피 제공 △대상별 식생활 교육 △위생·안전·영양 순회 지도 △급식소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 전문영양사의 정기적인 위생‧영양 방문지도를 통해 취약계층 영양 불균형을 개선하고 안전하고 깨끗한 급식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센터는 지난 3월부터 만 3~5세 영유아기 어린이들의 올바른 식생활 형성과 친환경적인 식문화 정착을 위해 급식센터 등록기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라 분기별로 다양한 어린이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소규모 사회복지시설까지 급식관리를 확대해 취약계층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