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메뉴

사회·문화


양육비 최대 40%까지 올린다…수혜 연령도 22세로 높여

서울가정법원, 양육비 산정기준 개정안 내달부터 적용

법원이 부부가 이혼할 때 자녀를 키우는 친권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양육비의 기준 금액을 평균 27%, 최대 40%까지 올리는 양육비 산정기준 개정안을 내놨다.


자녀의 대학등록금 등을 고려해 양육비를 받을 수 있는 자녀의 나이도 23세 미만으로 상향했다.


서울가정법원은 지난 9일 양육비 산정기준 개정을 논의하는 공청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개정안을 공개했다.


법원에 따르면 이번 개정안은 2012년에 처음 제정된 기준표가 물가 상승 등에 따라 요즘의 양육 현실과 맞지 않는 문제를 개선하고 이혼 후 아이를 키우는 여성들이 빈곤층으로 추락하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양육비는 자녀의 나이와 부부 합산소득에 따라 달라 결정된다.


새 기준(안)에 따르면 아이를 부양하고 있지 않은 측에서 지급해야 할 양육비는 평균 20%, 많게는 40%까지 늘어난다.


예컨대 월 합산소득 350만원인 부부의 8~12세 자녀에 대한 양육비는 기존엔 164만원이었지만 새 기준을 적용하면 201만원이 된다.


부부의 월수입이 400~499만원일 경우 월평균 양육비는 108만7000원에서 118만1000원으로 늘어 8.6% 증가한다.


상승 폭은 소득이 많을수록 더 커진다.


월 700만원 소득의 부부가 0~3세 미만의 아이를 두고 이혼했을 경우 양육비는 108만7000원에서 152만6000원으로 40.4% 늘어난다.


이와 함께 법원은 대학 등록금을 부모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의 특성을 고려해 만 20~23세 자녀에게도 양육비를 지급하도록 했다.


자녀의 나이대를 0세부터 3년 간격(만 6∼12세 미만은 6년)으로 만 21세 미만까지 6단계로 나눠 차등 지급하도록 한 현행 기준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만 21세 이상∼23세 미만의 단계를 더 추한 것이다.


이에 따라 만 21세 이상∼23세 미만 자녀에게도 부모의 합산소득이 ▲100만∼199만 원일 때 97만 원 ▲200만∼299만 원일 때 113만 원 ▲300만∼399만 원일 때 130만 원 ▲400만∼499만 원일 때 163만 원 ▲500만∼599만 원일 때 181만 원 ▲600만∼699만 원일 때 204만 원 ▲700만 원 이상일 때 233만 원을 한 달 양육비로 지급해야 한다.


이 밖에 중증 질환이나 장애 때문에 고액 치료비가 드는 자녀를 둔 부모에게도 양육비를 가산해 지급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 자녀가 많을수록 평균 양육비가 줄어드는 점을 감안해 자녀가 한 명일 때는 양육비를 가산해 주고 3명 이상일 때는 감산하도록 했다.


법원은 이번 공청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수렴해 오는 30일 최종안을 마련하고 다음 달부터 새 기준을 재판 실무에 적용할 계획이다.


한편 양육비 산정 기준표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재판부는 기준표를 기본으로 부모의 직업, 각각의 소득 비율 등을 고려해 양육비를 산정하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한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