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메뉴

이슈


SK쉴더스, ‘블랙 슈란탁’ 해킹 공격으로 메일 24GB 유출

10일 첫 해킹그룹 경고받아...일주일 지난 18일 KISA 신고
SKT, 금융권, 반도체 기업, 공공기관 고객사 2차 피해 우려

 

통합보안 기업 SK쉴더스가 최근 해킹 사고를 당하고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늑장대응으로 이어졌다. 특히 이번 사고는 시스템에 침투한 해킹그룹인 다크웹 기반 해커그룹 ‘블랙 슈란탁’으로부터 증거 사진 42장을 전해받으며 해킹했다는 경고를 두 차례나 받았음에도 일주일 동안 이를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지하지도 못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SK쉴더스는 이달 10일과 13일 해킹그룹으로부터 2차례 경고를 받았다. 이 같은 내용은 국회 국정감사에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의원(국민의힘)이 제출했다.


해킹그룹이 발신한 정보는 SK쉴더스의 회원가입 서비스 해킹 관련 정보이며, 테스트 시스템이 접속이 안 되는 등 이상징후가 있었음에도 자체적으로 시스템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자료에는 SK쉴더스 고객사의 관리자 아이디, 비밀번호, 보안네트워크 시스템, 웹사이트 소스코드, API 등이 포함됐다. 해커가 제시한 자료를 보면 솔루션 검증, 증적, 알람과 통보 기능, 자동화 기능 등 SK쉴더스가 SK텔레콤에 제공하는 서비스 설명자료가 제시됐다.


그 이후 회사는 이달 17일 SK쉴더스 관련 정보가 다크웹에 업로드된 것을 확인하고 나서야 해킹 침해 사실을 인지했다. 회사는 해커의 첫 경고를 받은 지 일주일이 넘은 18일에서야 KISA에 사이버 침해 신고를 했다.

 


회사는 KISA에 ‘허니팟 기반 보안 테스트 중 개인 메일함(Gmail) 자동 로그인 설정으로 발생한 정보 유출 신고’라고 보고했다. 이번 사고로 회사의 기술영업직원 지메일 24GB가 해킹돼 기술적 보안사항 등 업무와 관련된 내용도 상당 부분 누출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SK쉴더스는 SK텔레콤, 금융권, 반도체 기업, 공공기관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어 피해 확산도 우려되고 있다.


SK쉴더스 측은 “다크웹에 해킹 관련 정보가 올라온 17일을 사고 인지 시점으로 보고 24시간 이내인 18일에 정보 유출 사고를 신고한 것”이라며 “KISA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피해지원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해명했다.


최 의원은 “SK쉴더스가 해킹 공격을 받으며 공공기관, 금융사, 통신사, 반도체 등 핵심 고객사 2차 피해가 우려된다”며 “과기정통부와 KISA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하루빨리 누출된 정보를 파악하고 피해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며 추가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컴투스, 한국환경공단과 초등생용 환경 인식 콘텐츠 개발
컴투스(com2us)는 한국환경공단 수도권서부환경본부와 협업해 환경보호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했다. 이번 협업은 초등학생의 환경보호 인식 제고를 목표로 추진됐으며, 재활용 방법과 환경보호 체험이 가능한 게임형 콘텐츠 2종이 제작됐다. 환경공단 수도권서부환경본부는 이달 18일~19일 양일간 ‘제23회 허준축제’ 행사 현장에서 ‘환경보감(環境寶鑑)’ 부스를 설치해 재활용 및 분리배출 관련 프로그램과 우유팩 딱지치기 등 다양한 참여 이벤트를 진행했다. 또 태블릿을 통해 컴투스가 개발한 교육용 게임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부스를 찾아온 방문객들은 환경보호에 대한 메시지를 간단하지만 재미있게 담아냈다며 관심을 보였다. 공단 수도권서부환경본부는 이후에도 학교와 각종 지역 축제 등에 해당 게임들을 활용하고 재활용 및 환경보호 인식 개선에 이바지할 예정이다. 이 콘텐츠는 초등학생 눈높이에 맞춰, 간단한 조작을 통해 종이, 캔, 플라스틱 등 생활 쓰레기 분류와 재활용 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각각 방 탈출 콘셉트로 분리배출 순서를 찾아 수행하거나 제한 시간 내 재활용품을 올바른 수거함에 분류하는 방식으로 학습효과와 재미를 높였다. 특히 이번 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