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국민연금 정부안, 공론화위 안보다 '순혜택 62%' 차이 난다고?

민주 전진숙 의원실·연금행동 순혜택 차이 공개
"자동조정장치 철회하고 '돌봄크레딧' 도입해야"

 

정부가 내놓은 국민연금 개혁안이 지난 국회 공론화위원회의 다수안보다 순혜택이 최대 62%가량 적다는 추계 결과가 나와 충격이다.

 

'순혜택'은 생애 받게되는 국민연금 급여의 총액에서 '납부한 보험료 총액'을 뺀 것이다. 두 안 사이 순혜택의 차이는 젊을수록 컸다.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시민단체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연금행동)은 18일 정부와 공론화위의 각 안에 따른 세대별 국민연금 보험료·급여 추계 결과를 공개했다.

 

연금특위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소득대체율을 40%로 유지하고 보험료율을 12%로 올리는 방안(재정안정안)과 소득대체율을 50%로 늘리고 보험료율을 13%로 높이는 방안(소득보장안)' 두 가지를 두고 지난 4월 시민 대표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시민 대표단의 56.0%는 소득보장안을, 42.6%는 재정안정안을 선택했다. 10명 중 6명가량은 '더 내고 더 받는' 안을 선호한 것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2%에 재정이 악화하면 급여 인상률을 줄이는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는 내용의 개혁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의원실과 연금행동은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30년인 평균소득자를 기준으로 기대 여명을 반영해 양측 안의 생애 총보험료·총급여·순혜택·수익비를 나이대별로 비교했다. 정부안의 자동조정장치는 급여 지출이 보험료 수입보다 많아지는 2036년도에 작동한다고 가정했다.

 

그 결과 순혜택은 전 연령대에서 정부안이 공론화위 다수안보다 적었다. 정부안의 순혜택은 공론화위 다수안에 비해 1975년생(50세) 46.0%(2억4천233만원→1억3천92만원), 1985년생(40세) 56.4%(3억429만원→1억3천265만원), 1995년생(30세) 61.8%(3억7천405만원→1억4천280만원), 2000년생(25세) 61.1%(4억1천690만원→1억6천217만원) 각각 적었다.

 

총보험료 대비 총급여의 비율인 '수익비'는 75년생의 경우 공론화위 다수안에서 2.60배였던 것이 정부안에서 1.85배로 줄었다. 마찬가지로 85년생 2.37→1.60배, 95년생 2.20→1.46배, 2000년생 2.16→1.46배로 낮아졌다.

 

전진숙 의원은 "윤석열 정부 연금개혁안은 재정안정에만 방점을 뒀기 때문에 연금액이 삭감되는 문제가 있다"며 "노후 소득 보장을 강화하기 위해 자동조정장치는 철회하고 가입 기간을 늘리는 돌봄 크레딧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무자격 날씨 유튜버 활개...기상청, 관리·제재 전무
17일 오전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대상 국정감사에서 잘못된 기상 정보를 유포하는 유트버들로 인해 국민들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상법 17조는 예보 또는 특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기상사업자로 등록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채 유튜브에 날씨 영상을 올리는 채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상청 공식 채널보다 무자격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날씨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심각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6호 태풍 위파에 대한 예보 영상을 예로 들었다. 지난 7월 13일 한 유튜브 채널에 위파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다는 예보 영상이 올라왔지만, 실제로 위파는 한반도에 닿지 않았고 이 영상의 조회수는 9만4000회나 됐다. 반면, 같은 날 기상청 공식 채널에 공개된 예보 영상에는 ‘밤부터 더 강하게 온다. 전국 비. 남부와 강원 집중호의 주의’라는 내용이 담겼고, 조회 수는 1만회에 그쳤다. 김 의원은 “태풍이 안 와서 다행이지만 반대로 안 온다고 예보했다가 실제로 오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