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10명 중 3명 "스타트업으로 이직 원해"

가장 관심 있게 보는 스타트업은 ‘당근마켓’

 

남녀 직장인 10명 중 3명은 스타트업 이직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0대에서 스타트업으로의 이직 관심 정도가 타 연령에 비해 다소 높았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은 20대 이상 남녀 직장인 1558명을 대상으로 ‘스타트업 이직 관심 정도’를 조사해 그 결과를 25일 내놨다.

 

먼저 이직할 회사로 스타트업을 선택할 의향이 있는지 질문했다. 그 결과 직장인 10명 중 3명이 ‘스타트업으로의 이직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연령별로 분석해 보면 30대 직장인들 중 35.2%가, 40대 이상 직장인 사이에서는 31.2%가 스타트업에서 근무하길 희망한다고 답했다. 반면 20대 직장인에서는 스타트업 이직을 희망하는 이들이 27.9%로 타 연령에 비해 다소 낮았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스타트업의 경우 신입 또는 경력이 낮은 사회초년생 보다는 혼자서도 직무를 온전히 담당할 수 있는 경력자를 선호하기 때문에 20대가 생각하기에 취업문이 좁다고 여긴 것"이라고 분석했다.

 

나머지 56.0%의 직장인들은 ‘스타트업으로의 이직을 고민해 보지 않아 잘 모르겠다’는 의견이었다.

 

그 외 13.5%는 △안정적인 조직을 선호해서(60.0%) △스타트업은 조직 체계나 기본이 잡혀 있지 않을 것 같아서(39.5%) △스타트업이 성공할지 장담할 수 없어서(31.0%) 등을 이유(*복수응답)로 스타트업으로 이직을 희망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스타트업으로 이직을 희망하는 직장인들은 어떤 점에 끌렸을까. 그 이유(*복수응답)를 조사한 결과, ‘성장 가능성’이 응답률 65.1%로 가장 높게 선택됐다. 전 연령층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 같아 스타트업에서 일해보고 싶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근무 분위기가 젊고 자유로울 것 같아서(56.0%) △지원자의 학벌과 스펙 등을 크게 보지 않을 것 같아서(29.9%) △재택근무, 자율출퇴근제 등 근무형태가 유연할 것 같아서(28.0%) △수평적이고 이른바 '꼰대문화'가 없을 것 같아서(22.1%) △향후 스톡옵션 등을 통해 몫 돈을 벌 수 있을 것 같아서(10.3%) 등을 이유로 스타트업에서 일해보고 싶다고 답했다.

 

설문에 참가한 남녀 직장인들에게 향후 유망할 것 같은 스타트업 분야가 무엇인지도 조사했다. 해당 질문에 남녀 직장인들은 △AI(인공지능) 관련(24.4%) 산업이 가장 유망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스마트 스토어 등 전자상거래 분야(17.3%) △친환경/재생에너지 관련(11.2%) △웹툰/웹소설/이모티콘 등 문화 콘텐츠 관련(8.6%) △기업 경영효율화를 돕는 B2B 비즈니스 솔루션 분야(7.2%) 순으로 유망 분야를 꼽았다.

 

스타트업 이직에 관심 있는 직장인 대상으로 현재 가장 관심 있게 보는 기업이 있는지도 조사했다. 개방형으로 질문한 결과, 당근마켓이 1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2위 쿠팡, 3위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4위 컬리(마켓컬리), 5위 카카오 순으로 꼽았다.

 

위의 스타트업을 관심 있게 보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실제 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31.4%)이 응답률 31.4%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일자리 창출 등 사회에 많은 기여를 한 곳이어서(29.5%) △사업 아이템이 재밌어서(28.6%) △평소 관심 있던 분야라서(20.4%) 등을 꼽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