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7℃
  • 구름조금강릉 11.2℃
  • 흐림서울 7.6℃
  • 박무대전 3.2℃
  • 맑음대구 2.5℃
  • 맑음울산 5.3℃
  • 박무광주 4.1℃
  • 구름조금부산 9.3℃
  • 맑음고창 2.0℃
  • 맑음제주 8.9℃
  • 맑음강화 3.7℃
  • 맑음보은 -0.3℃
  • 구름많음금산 -0.5℃
  • 구름많음강진군 1.7℃
  • 맑음경주시 -0.2℃
  • 맑음거제 4.5℃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3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올 1분기 취업성공률, ‘의학·약학계열 취준생’ 가장 높았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인해 어려웠던 올 1분기 취업시장에서 신입직 구직자 10명 중 2명 정도만이 취업에 성공했으며, 전공별로는 의학, 약학계열 취준생들의 취업성공률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알바몬과 함께 올 1분기 동안 구직활동을 했던 대졸 신입직 구직자 1,082명을 대상으로 ‘2021년 1분기 대졸 신입직 취업성공률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설문에 참여한 취준생 중 16.9%만이 올 1분기 입사지원 했던 기업으로부터 최종 입사 합격통보를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나머지 83.1%는 지원했던 기업으로부터도 입사합격 통보를 받지 못했거나, 현재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신입 구직자들이 여전히 취업 문턱조차 넘기 힘들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소재지별로는 서울/수도권지역 대학 출신 취준생들의 취업성공률이 17.3%로 지방 소재 대학 취준생 16.1%에 비해 큰 차이는 없었다.

 

전공별로는 △의학.약학계열 전공자들 중에서 ‘올 1분기 입사지원 기업으로부터 합격통보를 받았다’고 답한 취준생이 24.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이공학계열(19.3%) △경상계열(15.6%) △사회과학계열(15.0%) △예체능계열(14.9%) △인문계열(12.4%) 등의 순이었다.

 

입사지원 했던 기업별 취업성공률을 보면 중소기업에 지원했던 취준생의 경우 20.0%가 합격통보를 받은 경험이 있어 가장 높았으며, △대기업(15.8%) △공기업(10.3%) △외국계기업(5.7%) 순이었다.

 

입사 합격통보를 받은 기업에 대한 만족도는 41.0%가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25.7%는 만족하지는 않지만 출근하고 있거나, 또는 출근할 예정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33.3%는 다른 기업으로 구직활동을 계속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 1분기 구직활동을 한 취준생 중 43.2%만이 자신의 전공 분야와 맞는 직종에 취업했다고 밝혔으며, 56.8%는 전공 분야와 다른 직무분야에 합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분야 매칭 취업 성공률이 높은 학과는 △의학약학계열(82.4%) △이공학계열(60.0%) △경상계열(45.0%) △예체능계열(40.0%) 순이었으며, △사회과학계열(28.6%)과 △인문계열(30.3%)은 타 전공계열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첫 입사 합격통보를 받았던 시기는 취업활동을 시작한지 △3개월~6개월 미만이 36.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개월~3개월 미만 27.9% △1개월 미만 16.9% 등의 순이었다.

 

한편, 올 1분기 구직활동을 한 취준생 10명 중 7명 이상은 지난해와 비교해서 올해 구직난이 심각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해와 비교해서 심각하다는 취준생이 38.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훨씬 심각하다(37.2%) △비슷하다(20.3%) 순이었으며, 반면 작년 보다 구직난이 덜하다고 느끼는 취준생은 3.7%로 소수에 불과했다.

 

이들 취준생들은 취업을 위해 △직무분야 자격증 취득(24.5%)을 가장 중점적으로 준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 △직무경험(14.2%) △어학점수(13.9%) △면접준비(13.8%) △전공.학점관리(10.9%) 등의 순이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포스코, 가스흡입 사고에 사과...진보당 “위험의 외주화 끝내야”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흡입한 사고와 관련해 21일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전날(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다. 이 가운데 2명은 자발순환회복했지만 여전히 중태이고 1명은 의식장애로 중증인 상황이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셨으나 경증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진보당은 “또다시 반복된 포스코의 중대재해, 이제는 위험의 외주화를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선 진보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포항제철소에서는 불과 보름 전에도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1명이 숨졌다”며 “올해만 포항제철소에서 세 번째, 포스코그룹 전체로는 일곱 번째 인명사고”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사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한 포스코는 현장을 바꾸지 못했고, 결국 같은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특히 피해가 하청·협력업체 노동자에게 집중되는 현실은 포스코가 위험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