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


장제원 “지금 한가하게 감투싸움이나 할 때인가? 국민이 어떤 판단할지 모골이 송연”

작심하고 당내 쓴소리 이어가는 장제원 자유한국당 의원
“극소수 3선 중진 의원간 이전투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야…참 징글징글하다”

 

장제원 자유한국당 의원이 당내 계파싸움과 자리싸움에 대한 작심 비판을 이어갔다.

 

이번에는 상임위원장 자리를 두고 벌어진 당내 혼란에 쓴소리를 쏟아냈다.

 

장 의원은 6일 자신의 SNS에 “당 내 상임위원장 자리를 둘러싸고 빚은 갈등이 온통 주말 언론을 도배하고 있다. 언론들은 또다시 계파갈등이 재현되고 있다느니, 친박, 비박, 복당파 등등 지긋지긋한 망령된 단어들을 서스럼없이 소환하고 있다”며 “국민들께서 최근 자유한국당의 모습을 보면서 과연 어떤 판단을 하실지 생각하면 모골이 송연해진다”고 말했다.

 

그는 “도대체 무슨 계파가 어디에 있으며, 리더십의 문제는 또 어디에 있나? 이판사판 일단 좋은 자리 차지하려고 싸우는 것 아닌가”라면서 “제가 과문해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본질은 몇몇 극소수 3선 중진 의원들끼리의 자리를 둘러싼 이전투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비판했다.

 

“참 징글징글하다”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장 의원은 “문재인 정권의 경제 실정이 고스란히 자유한국당의 지지로 옮겨오지도 못하고 있다. 대통령의 지지율은 올라가고, 자유한국당의 지지율은 하락하고 있다”며 “지금 자유한국당이 한가하게 감투싸움이나 할 때인지 땅을 치며 묻고 싶다. 지금 자유한국당이 처한 상황을 겨우 최악을 벗어난 정도”라고 지적했다.

 

이어 “자리를 가지고 이전투구 하는 것을 당내 계파의 문제로 거창하게 몰고 간다거나 쇄신의 목소리로 미화해서는 안 될 것”이라면서 “최소한 당내 쇄신의 목소리나 쓴소리는 자리다툼이나 권력투쟁의 모습을 철저하게 배제할 때 그 진정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긴장하고 또 긴장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5일 자유한국당은 의원총회를 통해 국회 예사결산특별위원장에 김재원 의원을 선출했다.

 

당초 올해 연말까지 황영철 의원이 예결위원장을 맡기로 했었지만, 김 의원이 경선을 요구하면서 상황이 바뀐 것이다.

 

김 의원은 대표적인 친박계 의원으로, 황교안 대표의 측근이고, 황 의원은 바른정당 복당파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