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03일 금요일

메뉴

정치


학업중단숙려제 학생 복귀율 교육청 별 차이 많아

학업중단 숙려제를 통해 다시 학교에 남는 학생들의 비율이 201586.5%에서 201679.75%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 숙려제는 학업 중단 의사를 밝힌 학생에게 학교장이 2~3주의 숙려 기회를 주고 이 기간 상담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제도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의원(사진/ 경기도 성남시 분당을)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학업중단 숙려제 운영 현황에 따르면 2016년 학업중단 숙려제 참여학생은 4241명이었고, 숙려제를 통해 학업을 지속한 학생은 3293명으로 79.75%에 달했다.

 

숙려제 참여학생 중 학업지속자 숫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로 16514명이 참여하여 15152명이 학업을 지속하여 91.75%를 나타냈다. 다음은 울산(88.10%), 경북(85.59%), 세종(32.97%), 경남(41.19%), 전남(46.01%) 순이었다.


김 의원은 아이들이 초중등 교육만큼은 중단하지 않고 학업을 이어가도록 돕는 것이 공교육의 중요한 역할이라며 숙려제의 활성화를 강조했다이어 학업 중단의 원인이나 특성이 지역이나 학교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기에 정형화된 프로그램보다는 학교별학생별 맞춤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도록 교육당국이나 교육청은 관련 연구와 예산을 집중 투자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15~2016년 학업중단 숙려제 운영 현황>


시도명

2015(’15.3~’15.12)

2016(’16.3~’17.2)

학업중단 숙려제

참여학생 수(A)

숙려제 참여학생 학업지속 (B)

비율

(B/A*100)

학업중단 숙려제

참여학생 수(A)

숙려제 참여학생 학업지속 (B)

비율

(B/A*100)

전국

43,854

37,935

86.50%

40,241

32,093

79.75%

서울

4,616

3,732

80.85%

3,860

2,751

71.27%

부산

4,892

4,500

91.99%

3,334

2,486

74.56%

대구

2,302

1,811

78.67%

2,603

1,843

70.80%

인천

1,685

1,186

70.39%

1,558

920

59.05%

광주

666

505

75.83%

893

642

71.89%

대전

956

646

67.57%

888

466

52.48%

울산

2,028

1,878

92.60%

2,663

2,346

88.10%

세종

48

36

75.00%

91

30

32.97%

경기

17,749

16,603

93.54%

16,514

15,152

91.75%

강원

509

289

56.78%

590

292

49.49%

충북

2,141

1,861

86.92%

1,545

1,186

76.76%

충남

923

740

80.17%

979

624

63.74%

전북

318

212

66.67%

300

169

56.33%

전남

552

362

65.58%

676

311

46.01%

경북

3,517

3,025

86.01%

2,936

2,513

85.59%

경남

690

388

56.23%

636

262

41.19%

제주

262

161

61.45%

175

100

57.14%

출처 : ·도교육청 제출 자료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어르신 대상 스마트폰 교육 시행해 ‘보이스피싱’ 예방 나선다
최근 고령층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과 금융사기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7000억 여원에 달했으며, 이중 절반 이상이 60세 이상 노인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은행 직원이나 가족을 사칭한 뒤 송금을 유도하는 수법이 늘어나면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이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서울 성북구 장위순복음교회와 노인복지센터 청춘행복학교가 손잡고, 어르신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시니어 스마트폰 활용 단기 특강’을 개최한다. 교육은 오는 10월 16일부터 11월 6일까지 매주 목요일, 총 6회 과정으로 진행되며, 실습 중심의 체계적인 커리큘럼이 마련됐다. ◇보이스피싱 예방에 초점 맞춘 교육 이번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한 스마트폰 기능 익히기를 넘어 ‘보이스피싱과 금융사기 예방’에 방점을 둔 것이다. 참가자들은 △비밀번호 관리 및 지문·얼굴 인식 보안 설정 △스팸전화 차단 기능 활용 △의심스러운 문자·앱 판별법 △안전한 모바일 결제 습관 등을 실습을 통해 직접 익히게 된다. 또한 전화로 돈을 요구하는 경우는 무조건 의심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부터, 실제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