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메뉴


대기업 빵집, 위생상태 제로!

최근 민주당 이낙연 의원(국회기획재정위원회)이 밝힌 대기업빵집의 위생 상태는 빵점이다. 이들 업체가 생산, 판매하는 음식에서 각종 이물질과 대장균이 심심치 않게 검출되고 뚜레쥬르, 신세계 푸드 등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제과점과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제조과정의 위생 상태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유통기한이 경과한 제품도 버젓이 유통되고 있다.

이낙연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7~12월)에 대기업이 운영하는 제과점과 대형마트 57곳이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적발돼 행정처분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반경우를 살펴보면 호텔신라가 홈플러스에 매각한 아티제블랑제리 찰 호떡에서는 약 1mm가량의 검정깨와 유사한 돌조각이 나왔다. 다수의 뚜레쥬르 매장에서는 곰팡이와 파리로 추정되는 이물질과 흰 곰팡이가 나왔고 파리크라상 여러 곳에서는 곰팡이와 붓털혼입, 플라스틱 솔(맥분제거용), 머리카락, 철심이 들어 있는 비닐 끈이 나왔다. 또 베스킨라빈스 아이스크림에서는 플라스틱 솔과 나무 조각 등이 나왔다. 신세계 푸드 조선호텔은 시설물멸실 관리부실로 영업소폐쇄 조치를 당했다. 이마트 서울 성수 점은 이물 혼입 제품으로 품목제조정지 처분을 받았다. 홈플러스에서는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보관하다 적발된 것도 모라자서 식중독이 검출된 제품도 있었다.

전국에서 서울에 있는 매장의 위생상태 가장 불량

지역별로는 서울 16곳, 경기 13곳, 경남 9곳, 대구 7곳, 인천 3곳, 광주 2곳, 전북 2곳, 강원, 전남, 충남, 충북, 제주가 각 1곳이었다. 이낙연 의원은 “대기업이 운영하는 제과점과 대형마트가 동네 빵집과 전통시장을 잠식해가고 있다” 면서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이유 중 하나가 위생상 안전인데 대기업 운영점이 영세 점포들에 비해 위생상 우위에 있는지를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낙연 의원은 분식업, 제과업, 세탁업 등에 대기업이 진출하는 것을 억제하고 소상공인들의 생존권을 보호하기 위해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특별초치법 개정안’을 지난달 발의했다. 주요내용 ⑴에는 “지식경제부장관은 소장공인이 사업을 영위하는 것이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사업 분야를 소상공인 적합업종으로 지정하도록 함(안 제10조의 13 신설), 대기업 및 개인 기업이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중소기업이 소상공인 적합업종의 사업을 인수, 개시 또는 확장하는 경우 지식경제부장관의 승인을 받도록 함(안 제10조의 14 신설) 등이 들어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