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생물다양성 전문가 꿈 이뤄볼까?

여름방학 특별 교육과정 ‘어린이 생물자원학교’, ‘청소년 생물자원학교’ 등 20일부터 접수


이번 여름방학에는 자연 속에서 생물 다양성에 대해 공부해 보면 어떨까?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백운석)이 여름방학 기간 동안 초∙중∙고 재학생과 청소년들에게 생물다양성 전문가의 꿈을 이룰 기회를 제공하는 ‘어린이 생물자원학교’, ‘청소년 생물자원학교’ 등 생물다양성에 대한 특별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이번 특별 교육과정은 다. 6월 20일부터 7월 12일까지 우편 또는 담당자 이메일(nibr2007@korea.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어린이 생물자원학교’는 생물과 환경에 관심이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생물다양성과 생물분류’, ‘멸종위기 야생생물’, ‘생물로부터 얻는 지혜’ 등 6개 과정을 3일씩 2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이번 ‘어린이 생물자원학교’ 1차는 8월 2일부터 4일까지 3~4학년 30명, 5~6학년 30명을 두 개 반으로 나누어 진행하며, 2차도 같은 방식으로 8월 16일부터 18일까지 운영한다.




‘어린이 생물자원학교’는 지난 2010년부터 시작했으며 이번 교육과정까지 총 25기, 1,172명의 수료생을 배출한다.


‘청소년 생물자원학교’는 중∙고등 재학생과 만 12세부터 18세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중학교 과정은 20명이 8월 2일부터 4일간 15개의 세부 과정에, 고등학교 과정은 20명이 8월 9일부터 3일간 10개 세부 과정에 참여한다.


중학교 과정은 식물 야외실습’, ‘생물분류 실습’, ‘조류(藻類)의 다양성’, ‘식물표본 제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등학교 과정은 ‘곤충 관련 현장실습’, ‘표본 관찰 및 제작’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작성되는 보고서는 추후 학교의 개인 과제로도 활용할 수 있다.


‘청소년 생물자원학교’는 지난 2010년부터 ‘생물자원 주니어 큐레이터’로 시작했으며, 이번 교육과정까지 총 13기에 걸쳐 237명의 청소년들이 수료할 예정이다.


이번 생물다양성에 대한 특별 교육과정 참가자는 ‘어린이 생물자원학교’의 경우 컴퓨터 추첨으로, ‘청소년 생물자원학교’는 접수받은 자기소개서를 중심으로 선발하며, 7월 20일 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www.nibr.go.kr)을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백운석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여름방학 특별 교육과정은 생물다양성 전문가를 꿈꾸는 학생들이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환경단체 “정의로운 산업폐기물 처리 위한 폐기물관리법 발의” 지지
전국 곳곳에서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들이 산업폐기물 매립, 산업·의료폐기물 소각, 유해재활용 시설을 추진하면서 지역주민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환경 오염 우려를 키우고 있다. 이에 발맞춰 송재봉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폐기물관리법 및 폐촉법(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에 산업폐기물 현안지역대책위원회, 환경운동연합, 공익법률센터 농본은 31일 국회 소통관에서 지속가능하고 정의로운 산업폐기물처리를 위한 법안 발의 지지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윤만 추구하는 업체들이 부적절한 입지에 온갖 위법, 편법을 동원해 사업을 추진하는가 하면, 매립·소각·유해재활용 과정에서 불법과 사고, 부실관리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며 “매립이 끝난 산업페기물매립장을 사후관리하지 않고 ‘먹튀’하는 행태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로 인해 주민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고, 미래에까지 물려줘야 할 흙과 공기·물이 오염되고 있다”며 “돈은 영리기업이 벌고 피해는 지역주민들이 입고 사후관리나 피해대책 수립은 국민세금으로 해야 하는 기막힌 현실이 전국 각지에서 벌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 “이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