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최저임금인상에 대해 구직자·사업주 다른 목소리

최근 정부에서 최저임금 인상을 경기침체 해결 방향으로 주요하게 논의하고 있는 가운데,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경제회복 가능성에 실제 구직자와 사업주 간 판이한 시각차가 눈길을 끈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 www.alba.co.kr)이 구직자 3,002명과 사업주 565명을 대상으로 최저임금 인상과 경제전망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저임금 상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사업주는 기업의 고용 감소로 경기 침체가 우려된다는 의견이 50.4%로 가장 높은 반면, ‘구직자근로자의 소득 증가로 내수가 활성화될 것이라는 의견이 63.4%로 가장 높게 나타나 구직자와 사업주 간 뚜렷한 의견차를 드러냈다.

 

먼저 최저임금 상승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사업주 2명 중 1(50.4%)은 기업들이 인건비 부담으로 고용을 줄여 경제가 더 악화 될 것이라 생각했다. 반면, 37.9%가 경제가 더 활성화 될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서로 상반된 이 둘의 의견 차는 12.6%p로 매우 크지는 않았다. ‘모르겠다는 의견은 11.7%로 가장 낮았다.

 

특히 인상된 임금을 감당하기 어려운 영세 자영업자로부터 최저임금 인상이 일자리 감축을 부를 뿐이다는 호소가 강하게 들려왔다.

 

자영업자’(56.3%)가 최저임금 상승이 고용불안으로 연계돼 경제가 더 악화 될 것이라는 의견에 기업주’(45.7%) 보다 더 강하게 동의, 임금 상승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이 일반 기업들보다 더 큰 현실을 드러냈다. 반면 기업주역시 고용감소로 인한 경기침체를 1위로 꼽았으나, 내수증대를 통한 경기회복 가능성 역시 41.5%자영업자’(33.3%) 대비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 임금인상에 따른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치가 다소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업종특성에 따라서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경제적 효과 대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냈다.

 

알바생을 가장 많이 고용하고 있는 업종 중 하나인 매장관리업종이 고용감축으로 인한 경제 악화에 60.7%의 가장 높은 응답률 나타냈으며, 이어 상담·영업’(58.1%), 서비스’(53.2%), 서빙·주방’(52.9%)순으로 높은 응답 수치를 보였다.

 

반대로 강사·교육’(50.0%) 업종은 내수활성화를 통한 경기회복 가능성을 더 높게 내다봤으며, ‘사무회계’(48.2%), ‘IT·디자인’(47.1%), ‘생산·기능’(45.2%) 역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경제 활성화에 경기침체 보다 더 많은 동의표를 던졌다.

 

구직자는 절반 이상인 63.4%가 최저임금 인상이 오히려 근로자의 소득을 증가시켜 내수증대가 예상된다고 응답, 사업주와는 상반된 의견을 밝혔다. 이어 21.6%가 기업들의 고용감소로 경기가 침체될 것이라는 의견을 내비쳤으며, 이는 사업주(50.4%)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또한 구직자 연령대에 따라서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경제 전망에 서로 다른 시각차가 존재했다.

 

‘50’(75.0%), ‘40’(74.8%), ‘30’(65.3%), ‘20’(62.4%)순의 높은 연령대일수록 내수증대로 경제가 활성화 될 것이라는 의견이 두드러졌다.

 

반면 경기를 침체시킬 것이라는 의견에는 ‘20’(22.2%). ‘30’(21.6%), ‘40’(14.0%), ‘50’(16.0%)순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더 많은 표를 던지는 특징을 보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환경단체 “정의로운 산업폐기물 처리 위한 폐기물관리법 발의” 지지
전국 곳곳에서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들이 산업폐기물 매립, 산업·의료폐기물 소각, 유해재활용 시설을 추진하면서 지역주민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환경 오염 우려를 키우고 있다. 이에 발맞춰 송재봉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폐기물관리법 및 폐촉법(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에 산업폐기물 현안지역대책위원회, 환경운동연합, 공익법률센터 농본은 31일 국회 소통관에서 지속가능하고 정의로운 산업폐기물처리를 위한 법안 발의 지지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윤만 추구하는 업체들이 부적절한 입지에 온갖 위법, 편법을 동원해 사업을 추진하는가 하면, 매립·소각·유해재활용 과정에서 불법과 사고, 부실관리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며 “매립이 끝난 산업페기물매립장을 사후관리하지 않고 ‘먹튀’하는 행태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로 인해 주민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고, 미래에까지 물려줘야 할 흙과 공기·물이 오염되고 있다”며 “돈은 영리기업이 벌고 피해는 지역주민들이 입고 사후관리나 피해대책 수립은 국민세금으로 해야 하는 기막힌 현실이 전국 각지에서 벌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 “이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