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최저임금인상에 대해 구직자·사업주 다른 목소리

최근 정부에서 최저임금 인상을 경기침체 해결 방향으로 주요하게 논의하고 있는 가운데,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경제회복 가능성에 실제 구직자와 사업주 간 판이한 시각차가 눈길을 끈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 www.alba.co.kr)이 구직자 3,002명과 사업주 565명을 대상으로 최저임금 인상과 경제전망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저임금 상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사업주는 기업의 고용 감소로 경기 침체가 우려된다는 의견이 50.4%로 가장 높은 반면, ‘구직자근로자의 소득 증가로 내수가 활성화될 것이라는 의견이 63.4%로 가장 높게 나타나 구직자와 사업주 간 뚜렷한 의견차를 드러냈다.

 

먼저 최저임금 상승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사업주 2명 중 1(50.4%)은 기업들이 인건비 부담으로 고용을 줄여 경제가 더 악화 될 것이라 생각했다. 반면, 37.9%가 경제가 더 활성화 될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서로 상반된 이 둘의 의견 차는 12.6%p로 매우 크지는 않았다. ‘모르겠다는 의견은 11.7%로 가장 낮았다.

 

특히 인상된 임금을 감당하기 어려운 영세 자영업자로부터 최저임금 인상이 일자리 감축을 부를 뿐이다는 호소가 강하게 들려왔다.

 

자영업자’(56.3%)가 최저임금 상승이 고용불안으로 연계돼 경제가 더 악화 될 것이라는 의견에 기업주’(45.7%) 보다 더 강하게 동의, 임금 상승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이 일반 기업들보다 더 큰 현실을 드러냈다. 반면 기업주역시 고용감소로 인한 경기침체를 1위로 꼽았으나, 내수증대를 통한 경기회복 가능성 역시 41.5%자영업자’(33.3%) 대비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 임금인상에 따른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치가 다소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업종특성에 따라서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경제적 효과 대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냈다.

 

알바생을 가장 많이 고용하고 있는 업종 중 하나인 매장관리업종이 고용감축으로 인한 경제 악화에 60.7%의 가장 높은 응답률 나타냈으며, 이어 상담·영업’(58.1%), 서비스’(53.2%), 서빙·주방’(52.9%)순으로 높은 응답 수치를 보였다.

 

반대로 강사·교육’(50.0%) 업종은 내수활성화를 통한 경기회복 가능성을 더 높게 내다봤으며, ‘사무회계’(48.2%), ‘IT·디자인’(47.1%), ‘생산·기능’(45.2%) 역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경제 활성화에 경기침체 보다 더 많은 동의표를 던졌다.

 

구직자는 절반 이상인 63.4%가 최저임금 인상이 오히려 근로자의 소득을 증가시켜 내수증대가 예상된다고 응답, 사업주와는 상반된 의견을 밝혔다. 이어 21.6%가 기업들의 고용감소로 경기가 침체될 것이라는 의견을 내비쳤으며, 이는 사업주(50.4%)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또한 구직자 연령대에 따라서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경제 전망에 서로 다른 시각차가 존재했다.

 

‘50’(75.0%), ‘40’(74.8%), ‘30’(65.3%), ‘20’(62.4%)순의 높은 연령대일수록 내수증대로 경제가 활성화 될 것이라는 의견이 두드러졌다.

 

반면 경기를 침체시킬 것이라는 의견에는 ‘20’(22.2%). ‘30’(21.6%), ‘40’(14.0%), ‘50’(16.0%)순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더 많은 표를 던지는 특징을 보였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장동 비리’ 유동규·김만배...1심서 징역 8년 법정 구속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된 민간업자들이 1심에서 중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조형우 부장판사)는 31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배임,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과 화천대유자산관리(이하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에게 각각 징역 8년을 선고했다. 특경법상 배임이 아닌 형법상의 업무상 배임이 인정됐다. 재판부는 아울러 김 씨에게는 4백28억 165만 원, 유 전 본부장에겐 8억 천만 원의 추징을 명령했다. 또 이들과 함께 활동한 남욱 변호사와 정영학 회계사, 정민용 변호사에게는 징역 4년과 5년, 6년 형을 각각 선고했다. 재판부는 “예상이익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확정이익을 정한 공모 과정을 그대로 체결해 공사로 하여금 정당한 이익을 취득하지 못하게 하고, 나머지 이익을 내정된 사업자들이 독식하게 하는 재산상 위험을 초래했다”며 “위험이 실제 현실화돼 지역주민이나 공공에 돌아갔어야 할 막대한 택지개발 이익이 민간업자들에게 배분됐다”고 했다. 한편, 민간업자들과 유 전 본부장은 대장동 개발 사업과 관련해 화천대유에 유리하도록 공모 지침서를 작성, 화천대유가 참여한 성남의뜰 컨소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