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산업


“K-조선 미래 연다”…정부, '액화수소 운반선' 민관 추진단 출범

K-조선 차세대 먹거리로 본격 육성... 올해 555억원 투입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9일 부산 벡스코에서 ‘액화수소 운반선 민관 합동 추진단’ 출범식을 열고, 액화수소 운반선 기술개발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액화수소 운반선은 기존 LNG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세대 친환경 선박 시장을 선점할 핵심 전략 자산으로 꼽힌다. 이 선박은 수소를 영하 253℃에서 액화해 부피를 약 800분의 1로 줄이는 방식으로, 기존 대비 10배 이상 높은 운송효율을 자랑한다. 현재까지 상용화된 대형 액화수소 운반선이 없는 만큼, 기술적 난이도와 시장 잠재력이 모두 높은 분야다.

 

산업부는 지난해 11월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액화수소 운반선 초격차 선도전략’을 발표하고 ▲핵심 부품 및 소재 원천기술 확보 ▲실증 및 대형화 추진 ▲민관 협력체계 강화 등 3대 추진 전략을 중심으로 개발을 지원 중이다. 올해는 총 55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오는 2027년까지 세계 최대 규모의 실증 선박을 건조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액화수소 운반선 개발에는 국내 101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총 43개 연구개발 과제가 동시에 진행 중이다. 이처럼 다수의 과제가 병행되는 상황에서, 과제 간 연계와 협력 강화를 위한 거버넌스 역할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번 추진단이 구성됐다.

 

추진단은 산업부를 비롯해 조선 3사, 학계, 연구기관 등 관련 분야 최고 전문가들로 구성됐으며 ▲R&D 연계 체계 구축 ▲실증 선박 건조 협업 ▲액화수소 기자재 공급망 조성 등을 중심으로 협력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액화수소 운반선은 초기 기술개발 부담이 크고 리스크도 높은 분야지만, 우리 조선 산업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반드시 선점해야 할 시장”이라며, “정부는 기술이 글로벌 기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정비하고,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