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분양관리지역에서 해제된 곳들이 분양시장에서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 오랜 기간 신축 공급이 끊기면서 ‘새 아파트’를 기다리던 수요자들의 인내심이 한계에 달한 것으로 보인다.
미분양관리지역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매월 미분양 주택수가 500세대 이상인 시•군•구 중에서 미분양물량이 가파르게 증가하거나 미분양 해소 속도가 저조한 지역, 미분양이 우려되는 지역 등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면 HUG의 ‘PF보증’과 ‘분양보증’이 까다로워지면서 공급도 자연스럽게 감소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러다보니 공급과잉현상으로 오랜 기간 몸살을 앓던 지역의 분양시장들이 활력을 되찾고 있다. 지난해 미분양관리지역에서 해제된 충북 청주, 경남 김해, 전북 군산 등 지방 중소도시들이 대표적이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1일 전북 군산시에 HDC현대산업개발이 분양했던 ‘군산 호수공원 아이파크’는 1순위에서 443가구 모집에 2만4713명이 몰려 평균 55.7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지난 4월 두산건설•코오롱글로벌이 경남 김해시에 분양했던 ‘김해율하 더스카이시티 제니스&프라우’는 709가구 모집에 1만5590명이 접수해 평균 22.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분양권 프리미엄도 상당하다. 충북 청주시 ‘청주가경아이파크3단지’ 전용 84㎡C형의 분양권은 지난 3월 6억7240만원(10층)에 거래됐다. 2억9,990만원이었던 분양가를 감안하면 2.2배 오른 가격이다. 전북 군산시 ‘디오션시티 더샵 2차’ 전용 84㎡A형 분양권도 분양가(2억6,580만원)보다 약 2배 오른 4억7900만원(18층)에 거래됐다.
부동산리서치업체 리얼하우스 김병기 팀장은 “군산시와 김해시 모두 2년이 넘는 기간 동안 미분양관리지역에 포함돼 있었던 만큼 신규공급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며 “새 아파트를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치솟으면서 분양시장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높아진 듯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