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메뉴

사회·문화


우리나라 자살 사망률과 국민의료비 연평균 증가율 OECD 1위

우리나라 자살 사망률이 10년 연속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 1위이며 남성 흡연율과 국민의료비 증가율도 최상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2일 'OECD 헬스 데이터 2014(2012년 기준)' 주요 지표를 발표했다.

OECD 지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자살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29.1명으로 OECD 평균 12.1명에 비해 2배가 훨씬 넘었다. 전년 33.3명에 비해선 다소 감소했다. 자살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국가는 터기로 1.7명이었다.
 
15세 이상 인구 흡연율은 21.6%로 OECD 평균 20.3%보다 다소 높았으나 남성 흡연율은 37.6%로 그리스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반면 여성 흡연율은 5.8%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국민의료비는 97조 1천억 원을 지출했고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6%이다. OECD 평균 9.3%에 비해 낮으나 연평균 증가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1인당 의료비 지출은 미화 2291달러(한화 231여만 원)로 OECD 평균 3484달러(351여만 원)보다 낮았다. 국민의료비 중 공공재원 비중은 54.5%로 OECD 평균 72.3%보다 낮고 가계직접부담 비중은 35.9%(34조8000억원)로 OECD 평균 19% 보다 높다.

기대수명은 81.3년으로 OECD 평균 80.2년에 비해 1.1년 길었다. 지난 5년간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1.9년 증가해 OECD 평균 증가 수준 1.2년보다 0.7년 더 많이 늘었다. 출생아 1000명당 영아사망률은 2.9명으로 OECD 평균 4명보다 1.1명 낮았다. OECD 회원국 중 아이슬란드와 슬로베니아, 일본, 필란드, 노르웨이 등 11개국에서 영아사망률이 3명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암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183.3명으로 OECD 평균 207.5명보다 24.2명 낮았다. OECD 회원국 중 멕시코와 터키, 필란드, 이스라엘, 스위스에 이어 여섯번째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허혈성심장질환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43.2명으로 OECD 평균 119.2명보다 낮고,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76.5명으로 OECD 평균 68.1명보다 높았다.
 
의약품 지출은 19.8%(19조3000억원)로 OECD 평균 15.4%보다 높으나 2000년대 들어 처음으로 20% 이하로 감소했다. 병원 병상과 자기공명영상(MRI) 등 의료장비는 OECD 평균보다 많은 편이고 지난 5년간 계속 증가했다.
 
병원 병상 수는 인구 1000명당 10.3병상으로 OECD 평균 4.8병상보다 2.1배 많았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1000명당 장기요양 병상과 시설침상은 50.1개 OECD 평균 50.5개와 비슷한 수준이나 2007년 24.2개에 비해 2배 이상 급격히 늘었다. 인구 1000명당 임상의사 수는 2.1명으로 OECD 평균 3.2명보다 1.1명 적으며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임상간호사 수는 인구 1000명당 4.8명으로 OECD 평균 9.3명의 절반 수준이다.

MRI 보유 대수는 인구 100만명당 23.5대로 OECD 평균 14대보다 9.5대 많았다. 컴퓨터 단층촬영(CT) 스캐너도 인구 100만명당 37.1대로 OECD 평균 24.1대보다 높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외래진료 횟수와 환자 1인당 평균 병원 재원일 수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국민 1인당 연간 14.3회 의사 진찰을 받아 OECD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다. 병원 재원일 수는 16.1일로 OECD 평균 8.4일보다 1.9배 길었다.

항생제 소비량은 국민 1000명당 하루 28.4DDD(일일사용량)로 OECD 평균 20.3DDD에 비해 많았다. 반면 항우울제 소비량은 인구 1000명당 하루 14.7DDD로 OECD 평균 56.4DDD에 비해 크게 낮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尹정부 '이재명 피습' 조직적 은폐...박선원·천준호 "재조사 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천준호 의원은 5일 기자회견을 통해 과 관련한 국가정보원의 조직적 은폐 및 축소 왜곡 정황을 폭로했다. 이어 그들은 당시 국정원과 수사당국, 국무조정실에 강력한 재조사를 요구했다.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은 지난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대표가 부산 가덕도 유세 현장에서 날 길이 12cm의 등산용 칼로 목 부위를 찔린 테러 사건으로, 범인은 칼을 양날검으로 개조까지 해가며 살상력을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정원은 사건 직후 대테러합동조사팀을 소집했음에도 이후 테러 지정 판단을 유보한 채 법원이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판단한 사건을 단순 ‘커터칼 미수’로 왜곡한 내부 보고서를 작성했다 . 특히 이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하루 전인 2025년 4월 3일, 탄핵선고를 뒤집어 볼 목적으로 김건희 여사의 측근으로 알려진 정치검사 출신 김상민 국정원 특보에 의해 작성되었는데, 야당 대표이자 유력한 대선주자였던 사람에 대한 테러를 '커터칼 미수'라고 축소 왜곡하면서 국정원 대테러국에 해당 사건이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대법원 판결을 무시했다. 또한 국정원은 “단순 살인미수로 수사하겠다”는 경찰의 입장만 듣고 테러 여부 판단을 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