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메뉴

경제


국내 대기업그룹 계열사 5곳 중 1곳 부채비율 위험 수준

29일 기업경영성과평가기관인 CEO스코어에 따르면 전년과 비교 가능한 자산 규모 5조 원 이상 상호출자제한 47개 기업집단의 1,418개 계열사 재무현황을 분석한 결과 부실 위험에 처한 한계기업은 총 279개(19.7%)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곳은 110곳이었으며 부채비율이 400%를 넘는 곳은 169곳이었다. 부채비율 400%를 잣대로 한 것은 금융위원회가 주채무계열을 선정할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도록 한 기준이기 때문이다.

 

동부그룹이 유동성 위기가 불거진 계열사를 가장 많이 보유했다. 51개 비금융계열사 중 절반에 가까운 24개(47.1%)가 자본잠식 및 부채비율 400%에 해당됐다.

 

동부에 이어서는 GS그룹의 78개 계열사 중 19곳(24.4%)이 유동성 위험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주력 계열사 중에서는 GS건설만 부채비율(263%)이 높았고 나머지는 방계인 코스모 계열이었다.

 

GS그룹에 이어 CJ(15곳·22%), 롯데(14곳·22%), 효성(14곳·34%), 코오롱(12곳·34%), 태영(12곳·32%), SK(11곳·14%), 한화(11곳·26%) 등 순으로 유동성이 위태로웠다. 이에 반해 영풍·아모레퍼시픽·교보생명·홈플러스 등은 자본잠식 및 부채비율 400% 이상인 곳이 한 군데도 없었다.

 

그룹별로는 현대가 540.5%로 부채비율이 가장 높았고 한진(452.4%)이 뒤를 이었다. 각각 현대상선과 대한항공 등 물류기업을 주력으로 한다는 점에서 물류분야의 부실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