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자산운용(대표이사 김태우)이 오는 22일 '1Q 미국메디컬 AI ETF'(종목코드 : 0083S0)를 신규 상장한다고 밝혔다. 이번 신상품은 AI 산업의 수혜가 기대되는 템퍼스 AI, 리커전 파머슈티컬스, 인튜이트브 서지컬 등 미국 메디컬AI 대표 기업에 투자한다.
메디컬AI 산업은 구글 알파폴드2가 기존의 방법으로 예측하기 어려웠던 단백질 구조를 인공지능 AI 기술을 활용하여 정확하게 예측하며 신약 개발, 단백질 기능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연 공로로 202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하며 큰 관심을 끌었으며, 최근 젠슨 황의 엔비디아를 비롯하여 다수의 빅테크 기업들이 메디컬 AI를 ‘Next Amazing Revolution’의 영역으로 주목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리서치업체 프레지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전통적인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는 AI와 결합하여 메디컬AI 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으며, 글로벌 메디컬AI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267억 달러에서 2033년 약 6,138억 달러로 정밀의료, AI신약개발, 로봇수술 등을 중심으로 연평균 약 37%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1Q 미국메디컬 AI는 이러한 미국 메디컬AI에 투자하는 최초의 ETF(국내 상장 기준)로 ‘KEDI 미국메디컬 AI’ 지수를 추종하며 해당 지수는 미국 상장기업 중 메디컬(의료) AI 관련도가 높은 기업을 스코어링 방식 등을 종합하여 총 최대 15개 기업을 선별한다.
주요 편입 기업으로 ‘의료계의 팔란티어’라고 불리는 AI기반 정밀의료 플랫폼 기업 템퍼스 AI(TEM), 엔디비아가 지분 투자한 AI 신약 개발 선두주자 리커전 파마슈티컬(RXRX), 수술용 로봇 전문 기업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에 각 약 25%, 15%, 10%를 투자한다.
템퍼스AI와 리커전 파마슈티컬은 2025년 상반기 기준 국내의 해외주식 투자자 순매수 각 5위와 10위에 올랐으며, 특히 템퍼스 AI(5위)는 국내 투자자가 팔란티어(6위), 애플(7위), 코인베이스(8위), AMD(9위) 보다 많은 금액을 투자하여 서학개미에게도 친숙한 종목이다. 이 외에도 구글, 노바티스, 엔비디아, 아스트라제네카 등 메디컬 AI 관련 기술을 보유하거나 협업하는 기업들에 투자한다.
하나자산운용은 2025년 들어 ▲1Q 미국배당TOP30 ▲1Q 미국S&P500 ▲ 1Q 미국나스닥100 ▲1Q 미국S&P500미국채혼합50액티브 등을 잇달아 상장하며, ETF 상품 라인업을 확충해 왔다. 이 중 미국대표지수 2종(1Q 미국S&P500, 1Q 미국나스닥100)은 최저 수준의 보수와 낮은 주당가격으로 개인 및 연금투자자들의 매수에 힘입어 순자산 1000억원을 돌파하였다.
김태우 대표는 “상반기에는 S&P500, 나스닥100 등 연금투자에 필수적인 라인업을 채웠으며 하반기부터는 하나자산운용의 리서치 역량을 기반으로 1Q ETF만의 차별화된 ETF를 출시할 것”이라며, “AI는 거부할 수 없는 큰 시대의 흐름으로 전 영역에 걸쳐 기존 산업과 우리들의 삶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확신”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