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28일 목요일

메뉴

경인뉴스


경기도·랴오닝성 자매결연 30주년 기념 명대 서화 특별전

-《명경단청 明境丹靑 : 그림 같은 그림》 연계 국제학술대회
-“명대 서화예술의 전개와 확산” 경기도박물관에서 개최

2024년 12월 5일부터 2025년 3월 2일까지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명경단청明境丹靑: 그림 같은 그림》 특별전은 경기도와 중국 랴오닝성 ‘자매결연 30주년 공동선언’의 결실이다.

 

이번 전시는 경기도와 랴오닝성 대표 박물관 간 교류를 통해 우수 문화유산을 서로 알리기 위하여 추진된 것으로 랴오닝성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명대 서화 53점이 경기도박물관 특별전시를 통해 공개되고 있다.

 

이 서화예술품들은 명대의 대표적인 화가와 서예가들의 주옥같은 작품들로 평가받는다.

 

경기도박물관(관장 이동국)은 오는 6일 이 특별전을 연계해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행사의 주제는 “명대 서화예술의 전개와 확산”이다. 중국, 일본, 미국, 한국에서 활동하는 미술사학 교수와 연구자들이 모여 중국 명대 서화예술의 발전과 전개, 동아시아적 확산과 영향 관계에 대해서 발표하고 토론한다.

 

6일 오전 기조 발제와 강연은 「중국 명대 회화예술-랴오닝성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양용, 랴오닝성박물관), 「조선시대 명대 회화의 수용과 변용」(홍선표, 이화여대 명예교수), 「조선시대 명대 서풍의 수용과 변용」(이완우,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등 세 편이다.

랴오닝성박물관 서화예술을 중심으로 명대 회화의 예술에 대한 발제와 중국 명대 회화와 서예가 조선시대의 회화와 서예에 미친 영향 관계에 대한 강연이다.

 

오후에는 모두 여섯 편의 연구 발표가 이어진다. 「혜가의 팔뚝이 동쪽으로 간 까닭은? - 혜가단비(慧可斷臂)에 대한 단상」(조인수,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은 명대 전기의 화가 대진(1388-1462)의 작품 〈선종육대조사도권〉에 주목한 연구발표다. 이 작품은 한국에 처음 소개된 작품으로 참선을 위주로 하는 혁신적 불교인 선종의 비조 달마로부터 혜가-승천-도신-홍인-혜능으로 이어지는 육대 조사를 차례로 묘사한 그림이다.

「셋슈(雪舟)가 본 동아시아」(이타쿠라 마사아키 板倉聖哲,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는 선종 승려이자 일본 수묵화의 대성자로 불리는 셋슈(雪舟, 1420-1506)가 보았을 중국 회화를 상정해 보고 그의 그림이 중국과 한국에서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를 연구한 발표이다.

「명대 오파회화 속 ‘동천(洞天)’ 이미지」(최여훈, 명지대학교)는 명대 오파 화가들이 그린 동천복지 그림들을 동천의 시각화 전통의 맥락에서 살펴본다.

 

「초예기자지법(草隷奇字之法)과 사기(士氣)의 전개양상과 함의」(이동국, 경기도박물관)는 시서화 일체의 문인화론을 집대성하고 실천한 명 말기 동기창(1555-1636)의 이론이 조선 후기와 말기에 영향을 주고, 주체적으로 해석된 점에 대하여 추사 김정희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동기창의 〈강산추제도〉, 그 우정과 권력에 대한 기억」(임수아, 클리블랜드미술관)은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이 소장한 동기창의 작품 〈강산추제도〉가 그려진 종이가 외교문서로 전해진 조선지라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조선과 명의 지배층 교류 과정에 형성된 정치적, 문화사적 ‘기억’ 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조선과 명의 사대 질서에서의 권력 관계, 동기창과 명말 문인들의 조선 종이에 대한 수집열, 동기창이 누렸던 정치적, 문화적 특권을 기억하는 매체로서 이 작품을 면밀히 탐구한다.

 

「명말 회화에서의 진(眞)과 환(幻)」(오승희, 시카고미술관)은 명말 화가 오빈(吳彬, 약1573–1626 활동)의 대표작 <십면영벽도(十面靈璧圖)>를 중심으로, 회화 작품이 당대의 철학적 질문, 특히 명말에 부흥한 유식불교의 인식론과 어떻게 연결됐는지 고찰한다.

 

여섯 편의 연구발표에 대한 개별 토론은 장준구(이천시립월전미술관), 이정은(한국외국어대학교), 유순영(국가유산청), 고연희(성균관대학교), 조민주(덕성여자대학교), 정윤회(경기도박물관) 등 이 분야 연구자들이 나선다. 종합토론은 박은화 교수(충북대학교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한다.

 

중국 명대 서화전을 연계해 펼쳐지는 이번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한국과 중국, 일본, 미국에서 활동하는 관련 연구자들의 학술적 성과가 발표되며, 명대 서화가 조선과 일본에 미친 영향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행사 장소는 경기도박물관 1층 뮤지엄아트홀이며, 당일 학술행사는 경기도박물관 유튜브로 중계할 계획이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하리수, 24주년 데뷔 기념 '애지몽'·'됐거든' 동시 발표
가수 하리수가 데뷔 24주년 기념으로 대중과 팬들을 위해 싱글 앨범을 발표하고 인사말을 공개했다. 가수 하리수가 데뷔 24주년을 맞아 팬들에게 새로운 싱글앨범 '애지몽(愛知夢)', 트로트 댄스 '됐거든' 2곡을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하리수는 이번 앨범 ‘애지몽’은 사랑(愛), 기억(知), 꿈(夢) 세 글자를 엮어낸 한 편의 시와 같다며 한 사람을 향한 끝나지 않는 그리움을 담아냈다고 메세지를 통해 본지에 밝혔다. 그녀는 대금과 피아노의 조합과 스트링이 어우러진 애절한 발라드 곡이라 설명했다.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며 깊은 울림이 전해지는 이번 앨범은 간주에서 흐르는 대금 선율이 마치 이별의 긴 순간처럼 애절함이 느껴진다고 전했다. 가사는 떠나간 이를 향한 절절한 그리움으로 “보고싶다 백 번 외치면"으로 시작해 "문을 열고 다음 생은 눈물 주지 말아요”라는 마지막 기도로 마무리된다. 꿈에서라도 다시 만나고 싶은 애틋한 마음이 곡 전반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이 곡은 트로트계를 대표하는 명품 콤비, 작사가 최비룡과 작곡가 최고야가 하리수의 목소리를 위해 조화를 이루어 탄생했다. 단순한 슬픔을 넘어, 기억을 품고 살아가는 이들의 마음을 세밀히 포착한 가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