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2024 스타와 함께하는 희망농구’ 선수진 확정

 

‘2024 스타와 함께하는 희망농구’ 자선경기에서 뛸 선수진이 확정됐다.

 

다음달 7일 오후 2시 경기도 의정부체육관에서 개최되는 자선경기의 출전 선수로는 한기범(한기범희망나눔 회장) 감독을 필두로 김건우, 김준성, 양우섭(전 SK 나이츠), 김재욱(개그맨), 김택(탤런트), 박재민(탤런트), 이대희(모델), 이태선(배우), 정철규(개그맨), 한승수(모델), 홍성욱(가수)이 사랑팀으로 나선다. 

 

레전드 김유택 감독의 희망팀은 김민수, 전태풍(전 SK 나이츠), 이항범(전 KCC 이지스), 강인수(탤런트), 김수겸(모델), 김승현(배우), 문수인(모델), 박광재(배우), 오승훈(배우), 정진운(가수), 차한결(가수)이 출전한다.

 

이날 행사는 아나운서 박종민과 탤런트 김덕현의 사회로 진행되며 가족참여 농구슛 이벤트를 시작으로 화려한 막을 올린다. 

 

축하공연엔 가수 박상민과 김재롱, 소프라노 정찬희, 태너 김기선, 걸그룹 3PIECE 등이 열정적인 무대를 선보이고, SM아티스트 슈퍼주니어 신동, 려욱, 라이즈, 엔시티 위시 등은 영상을 통해 행사를 축하한다.

 

하프타임에는 선수들과 의정부시 다문화학생들이 함께하는 릴레이 이벤트도 진행된다.

 

또 경기 도중 진행되는 사랑의모금함 이벤트에는 김덕현(탤런트), 김혜영(가수), 서지연(배우), 이아진(인플루언서) 등이 참여해 관람객들의 훈훈한 모금활동을 돕는다.

 

이 외에도 선물투척 이벤트와 경품 추첨을 통해 에어아시아(인천-쿠알라룸푸르 2인 왕복 항공권), 한우물(정수기), 인펜토코리아(자전거), 프로농구구단 싸인볼 등 다양한 선물도 관람객들의 기대를 모을 예정이다.

 

자선경기 초대권은 의정부 관내 주민센터에서 무료 배부하고, 유튜브 한기범TV, 네이버TV, 카카오TV에서는 이날 자선경기를 생방송으로 송출된다. 

 

자세한 내용은 '한기범희망나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희망농구올스타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사단법인 한기범희망나눔 주관하며, 보건복지부, 대한체육회, 대한민국농구협회, KBL, WKBL, 의정부시의 후원한다. 

 

한편, ‘2024 스타와 함께하는 희망농구’ 자선경기의 수익금은 어린이 심장병 환우의 수술비에 지원된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특별법 '유효기간 2년 연장' 법안 통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이 이번 달 말로 일몰되는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의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내용을 담아 대표 발의한 개정안이 지난 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 본회의에서 개정안이 의결됨에 따라 전세사기 피해자 인정 및 지원 기간이 2년 더 늘어나면서 전세사기 피해자 구제 공백 우려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행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은 전세사기 피해자를 지원하고, 주거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 2023 년 6 월부터 시행됐다. 그러나 특법법의 유효기간은 2025년 5월 31일로, 이번 달이 지나면 만료되어 이후 발생하는 전세사기 피해자를 지원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국토교통부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에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1일 기준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된 자는 2만9,540명으로 3만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지난 달에만 874건이 추가되는 등 여전히 전세사기로 인한 피해사례가 확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전세사기로 인한 피해와 구제 필요성은 지속되고 있어 피해자 인정 및 지원 기간을 늘리고 주거와 금융, 법적 절차 등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