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오피니언


2024년 연말에는 우리 모두에게 ‘뿌듯함’이라는 작은 상장을 주자

<유현숙의 위로와 화해>

 ‘견리망의(見利忘義)’는 교수신문이 선정한 ‘올해의 사자성어’다. 이 말은 장자 '산목편'에 나오는데 “눈 앞의 이익을 보자 의로움을 잊는다”는 뜻이다.

 

이익만을 쫓다가 의리와 정의를 잊어버린 사람 중 누구의 얼굴이 떠오르는가? 슬프게도 사익을 추구한 정치인·행정가·법조인, 교권을 침해한 학생과 학부모, 자식이나 제자를 학대하고 방임한 어른들이 주마등처럼 스쳐간다. 나 자신 또한 어느 순간 ‘인간다움’, ‘사회구성원다움’, ‘직업인다움’, ‘부모다움’, ‘자식다움’을 잠시라도 잊었던 건 아닌지 되돌아본다. 한치의 부끄러움이 없었다고 말하기 어려워 얼굴이 붉게 달아오른다.

 

언제나 꼿꼿하게 자신의 본분을 지킨다는 게 누구에겐들 쉬운 일일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 순간 ‘이익을 쫓고 싶은 충동’을 이겨내며 자기 자리에서 묵묵히 최선을 다한 대다수 시민, 우리 자신이 있었기에 세상의 질서가 큰 탈 없이 유지되고 있다.

 

 

2023년 개봉해 천만 명 이상 관객을 스크린 앞으로 다시 불러모은 영화 <서울의 봄>도 ‘견리망의’라는 말을 떠오르게 한다.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보며 분노한 이유는 쿠데타의 수괴, 그의 광기 어린 권력욕의 민낯을 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 깊숙이 살펴보면 결국 자기 자리에서 자신이 할 일을 내팽개친 많은 등장인물 또한 우리를 화나게 했다. 대통령은 대통령답지 않았고, 장관은 장관답지 않았고, 군인들은 군인답지 않았다.

 

그렇게 어떤 이익 때문에, 혹은 어떤 두려움 때문에 자기 자리를 떠나 할 일을 외면한 순간들이 모여서 우리는 봄을 맞이하지 못한 채 너무 긴 겨울을 보냈다.

 

최근 본 <티쳐(a Teacher, 2020)>라는 미국 드라마도 비슷한 생각을 하게 했다. 드라마 속 여주인공은 교사로 새로 부임한 학교에서 순간적인 욕망을 이기지 못하고 미성년자인 제자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는다. 주인공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법한 평범한 사람이나, 가끔 마트에서 물건을 훔친다거나 교내 행사가 열리는 동안 창고에서 ‘딱 한 번인데 어때’라며 술을 마시는 등 소소한 일탈을 한다.

 

분명 감독이 그렇게 인물을 설정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우리 속담에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는 걸 보여주려고 한 건 아니었을까? 평범한 사람도 작은 유혹과 충동에 흔들리는 순간 얼마든지 큰 사건, 사고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말이다.

 

피해자인 제자는 훗날 가해자를 만나 “내 책임이 아니라는 걸 깨닫는데 얼마나 오래 걸린지 알아요? 난 그냥 아이였어요”라며 따진다. 작은 일탈로 시작된 직무유기와 범죄가 한 사람의 삶을 통째로 망가뜨렸다는 걸 드라마는 보여준다.

 

 2023년 ‘제야의 종’ 타종행사에 참여한 시민대표 18명이 누군지 유심히 살펴보았다.

 

지난 8월 서현역 흉기난동 사건 당시 부상을 입고 쓰러져 있는 여성을 발견하고 구조활동을 한 ‘의인’ 윤도일 씨, 보호 종료 아동에서 자립준비 청년 멘토가 된 박강빈 씨, 아르헨티나 출신 열차 기관사 알비올 안드레스 씨 등 지난해 우리 마음을 할퀴었던 여러 사건들이 있었지만, 이렇게 제 몫을 다해 자리를 지키고 선행을 베푼 이들이 있었기에 상처는 감싸지고 다시 희망을 갖는다.

 

도망치고 싶고, 나태해지고 싶을 때 본분에 눈 감고 싶을 때 정신을 다잡고 할 일을 한 사람들. 그 분들 뿐 아니라 우리 모두 그랬다고 자신한다. 그러므로 평범한 우리 대다수는 박수 받아 마땅하다. 2024년 올해 말에도 그렇게 우리 자신에게 ‘뿌듯함’이라는 작은 상장 하나 줄 수 있기를 소망한다.  

 

글 유현숙 임상심리전문가(인지행동치료 전문가)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무자격 날씨 유튜버 활개...기상청, 관리·제재 전무
17일 오전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대상 국정감사에서 잘못된 기상 정보를 유포하는 유트버들로 인해 국민들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상법 17조는 예보 또는 특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기상사업자로 등록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채 유튜브에 날씨 영상을 올리는 채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상청 공식 채널보다 무자격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날씨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심각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6호 태풍 위파에 대한 예보 영상을 예로 들었다. 지난 7월 13일 한 유튜브 채널에 위파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다는 예보 영상이 올라왔지만, 실제로 위파는 한반도에 닿지 않았고 이 영상의 조회수는 9만4000회나 됐다. 반면, 같은 날 기상청 공식 채널에 공개된 예보 영상에는 ‘밤부터 더 강하게 온다. 전국 비. 남부와 강원 집중호의 주의’라는 내용이 담겼고, 조회 수는 1만회에 그쳤다. 김 의원은 “태풍이 안 와서 다행이지만 반대로 안 온다고 예보했다가 실제로 오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