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정보


지속 성장의 조건은 혁신과 추격... 공정한 시장 룰

미국 경제만 바라보면 엄청난 재정 적자로 정부 기능 ‘샷 다운’이 시한부로 연장되고 있다.

 

달러 패권이 흔들리는 기미도 보이고 있다. 극심한 정치 분열과 인종 갈등, 끊이지 않는 총기 사고 등 미국 경제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요인이다. 그러나 이런 비관적 분석은 중국과 일본, 유럽, 한국에 대해서도 각각 처한 환경에 따른 요인들은 차이가 난다고 해도 똑같이 내릴 수 있다. 

 

 

어떤 나라의 경제를 겉껍질로만 보면 문제투성이 또는 위기 상황이 아닌 곳이 없다. 이 지구촌에 겉과 속이 다 잘나가는 경제력을 지닌 나라는 없다. 문제투성이 상태, 불안정한 현장이 바로 경제의 일면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불안정성이 없다면 오히려 그 경제는 활력을 잃어버리고 침체의 늪에 빠진다. 더욱이 지구촌이 하나의 생태계가 돼 나쁜 바이러스가 전염병처럼 퍼지듯, 다른 나라들의 네거티브 요인들이 자국의 경제에도 즉각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우리는 경제를 진정하게 움직이는 본질적 속성과 힘을 보는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경제 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동의하는 바는 경제를 움직이는 본질적 힘은 ‘혁신’이라는 사실이다. 첨단기술의 혁신이 일어나는 나라는 그 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의 기관차가 될 수 있다. 첨단기술 혁신에 덧붙여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력도 보태고 싶다.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컴퓨터와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혁신을 이끌어왔고 현재는 AI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은 또한 전략 개념을 경영학에 접목해 경영과 금융 분야에서 혁신 모델을 만들어냈다. 

 

베이징에서 벤처기업들에게 자금을 빌려주는 투자사인 시노베이션 벤처스(Sinovation Ventures)를 창업하고 CEO를 맡고 있는 카이푸 리(이개복)라는 인물이 있다. 그는 대만에서 태어났고 고교 시절에 미국으로 건너가 콜롬비아 대학에서 컴퓨터 사이언스를 전공했고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AI관련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MS, 구글, 애플 등에서 일했고, 창업 직전에 구글 차이나 대표를 역임했다. 카이푸 리는 2018년 그의 저서 「AI Superpowers China, Silicon Valley and the New World Order」라는 긴 제목의 베스트셀러급 책을 출간했다. 그 책의 내용은 제목에서 암시하듯이 중국 AI 파워가 
미국을 급속히 쫓아가고 있으며 그리되면 중국이 미래의 슈퍼 파워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그의 전망대로 중국의 AI 논문수가 미국을 앞지르고 있다는 지표가 속속 발표되고 있다. 

 

그는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중국 대표를 맡으면서 바이두, 텐센트, 알리바바, 레노보, 화웨이, 하이얼 등 중국 유수의 대기업 A I 리더들 을 훈련시켰다. 그의 회사 시노베이이션 벤처스의 운용 자금은 17억 달러에 이른다. 공동 출자자 중에는 유튜브 공동창업자인 스티브 챈, 폭스콘사 등이 들어 있다. 

 

컴퓨터 과학자이자 사업가인 카이푸 리의 전망대로 중국의 AI 파워가 미국을 앞서갈 수 있을까. AI 연구자의 절대 수가 많은 중국은 AI 논문 수에서 앞으로도 미국을 계속 앞서나갈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논문으로 기술이 발전하고 기업과 산업, 경제가 성장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논문은 작은 씨앗에 지나지 않는다. 그 씨앗이 싹을 틔우고 줄기와 가지, 잎이 자라서 햇빛을 받아 광합성 작용으로 스스로 에너지로 성장하는 나무로 자라야 의미 있는 기술 벤처기업이 된다. 그와 같은 기술 벤처기업은 리스크를 걸고 경영하는 기업가가 있어야 하고 크고 작은 시장친화형 개발을 위한 자금들이 계속 수혈돼야 한다. 

 

중국은 거대한 보조금으로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보조금만으로 취약 산업을 육성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혁신까지는 안 된다. 혁신은 스스로 노력하는 자가 동력이 필요하다. 보조금이 과다하게 살포되면 마치 작물에 비료를 너무 많이 뿌리면 썩어버리듯 오히려 자생 능력을 떨어뜨리거나 쉽게 병들거나 약한 체질로 변하기 쉽다.

 

한국도 리서치 예산이 무조건 많으면 좋을 줄로만 아는데 사정이 그리 간단치 않다. 뭐든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는 옛말을 새길 필요가 있다.   

 

미국과 일본, 한국, 중국 등 모두 초기의 산업 육성에서 정부의 리더십과 지원이 주효했다. 그러나 성장하고 난 뒤에는 민간 자율에 맡기는 게 상책이다. 그렇다고 정부가 완전히 발을 빼라는 것은 아니다. 정부의 산업과 경제 리더십의 성격이 민주적이고 투명하고 성과 보상적인 공정성을 꾀해야 한다는 의미다. 

 

민간에게 맡겼을 때의 이점은 민간 기업들 간에 치열한 경쟁을 조성하게 만듦으로써 경쟁을 통한 혁신과 동반성장, 차별화라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계속해서 정부가 앞장서고 주도하면 정부만 쳐다보고 민간 기업들이 경쟁보다는 담합으로 기울어져 안주하게 되는 경향을 띨 수 있다. 

 

미국처럼 세계적 혁신 능력이 없다면 신속하게 추격하는 전략이 중요하다. 혁신에서 퍼스 트 무버가 가장 좋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추격과 배움을 부끄러워해서는 안 된다.  일본과 유럽은 자부심 때문에 미국의 혁신 추격을 머뭇거리다가 미국에게 뒤처지고 역동성도 잃어버렸다.

 

한국, 미국과 유럽 등 서양이 녹록치 않다는 사실을 잘 알아야

 

일본은 엄청난 수출로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했다. 하지만 당시 잘 나갈 때, 일본 정부와 경제계는 외국 기업들의 제품들이 자국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교묘한 방법으로 차단했다. 오늘날 일본경제의 쇠퇴 원인을 길게 보면 자국 시장을 철저히 보호하면서도 품질과 가격을 무기로 상대국 시장을 초토화한 과거의 ‘죄 값’을 치르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중국이 이와 같은 일본이 행했던 불공정 방식을 그대로 본받고 왔다. 중국 경제는 이제 그와 같은 불공정 관행의 대가를 치르고 있는 모양새다. 

 

일본과 중국은 미국과 유럽을 상대할 때 처음에 좀 성과를 낼 것 같으면 쉽게 얕잡아 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한국은 이 점을 절대로 방심해서는 안 된다. 미국과 유럽은 수백 년 동안 해상 무역을 통해 세계와 무역하고 식민지를 경영하고 전쟁의 경험도 풍부하다. 이들의 점잖은 미소와 조용한 매너 뒤에 숨겨진 계획과 실행력을 늘 염두에 두고 대처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국은 일본과 중국의 대외 관계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중동과 우크라이나 경제부흥에서 상생협력을 기조로 해야 한다. 한국의 이익만 챙기는 태도는 반드시 보복을 받는다는  사실을  정부와  경제계를  깊이 인식했으면  한다.    




HOT클릭 TOP7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