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윤 대통령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MZ비난 잇따르자 사실상 백지화 수순

새로고침 노조 “주 52시간제 정착 못한 상황에서 개편안 도입은 시기상조”

 

윤석열 대통령이 ‘주 69시간제’로 논란이 된 근로시간 유연화 정책에 대해 “연장근로를 하더라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다”며 보완 방안 마련을 지시했다. 사실상 백지화다.

 

안상훈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지난 16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은 연장근로를 하더라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입법예고된 정부안에서 적절한 상한 캡(상한선)을 씌우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으로 여기고 보완을 지시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안 수석은 이어 “(정부안은) 노사 합의에 따라 근로시간 선택권, 건강권,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나 장시간 근로 조장이 아닌가 하는 우려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며 “정부는 추후 MZ(2030세대)근로자, 노조 미가입·중소기업 근로자 등 현장의 다양한 의견에 대해 보다 세심히 귀 기울이며 보완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15일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MZ노조로 불리는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와 2시간 동안 간담회를 갖고 관련 의견을 청취했다.

 

이 자리에서 유준환 새로고침 의장은 “지난번 (논평에서 밝힌) 입장과 거의 같은 내용을 전달한 상황”이라고 기자들에게 설명했다.

 

새로고침은 지난 9일 논평을 통해 “주 52시간제 조차 정착하지 못한 현 상황에서 개편안을 도입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며 국제사회 노동기준에 부합하지 않다”고 설명한 바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직장인 60%, 휴일·퇴근에도 업무 연락...조국 “이번 추석은 달랐으면”
“우리나라 직장인 10명 중 6명은 휴일이나 퇴근 후에도 업무 연락을 받는다."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직장인은 늘 ‘연결 대기’ 상태. 이번 추석은 달랐으면 한다. 특히 직장을 다닌 지 얼마 안 된 청년들이 상사의 전화 한 통, 회사의 카톡 메시지 하나에 스트레스와 연결되지 않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적었다. 그는 이어 “퇴근은 진짜 퇴근이어야 하고, 연휴는 진짜 연휴여야 한다”며 “직장인에게 업무시간 외에는 ‘연결되지 않을 권리’가 보장돼야 한다. 노동자가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사회권이자 디지털 시대의 인권”이라고 덧붙였다. 또 “정부의 ‘디지털 권리장전’에는 ‘모든 사람은 다양한 노동 환경에서 안전·건강하게 근로하고, 디지털 연결에서 벗어나 휴식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며 "이 권리는 직장인이 퇴근 후 전자통신 수단을 통한 업무 지시에 응답하지 않아도 되는 권리이고, 나아가 노동 시간이 끝나면 전자기기를 꺼도 되고, 연락에 응답하지 않아도 불이익을 받지 않을 권리다. 물론 재난 등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는 예외이며 공직자나 기업임원진은 적용대상이 아니다”라고 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경우 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