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8.2℃
  • 구름조금강릉 17.4℃
  • 맑음서울 17.0℃
  • 박무대전 16.6℃
  • 구름조금대구 16.6℃
  • 구름많음울산 19.0℃
  • 연무광주 19.1℃
  • 구름많음부산 20.4℃
  • 맑음고창 20.6℃
  • 구름많음제주 22.2℃
  • 맑음강화 16.8℃
  • 맑음보은 17.4℃
  • 맑음금산 16.0℃
  • 맑음강진군 20.6℃
  • 구름조금경주시 18.7℃
  • 구름조금거제 18.1℃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오피니언


[김자연 칼럼] 패션 재활용 플랫폼 구현한 Renoon

 

암스테르담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 리노의 리테일 기술 솔루션은 단순한 온라인 쇼핑 도구가 아님을 입증하고 있다. ‘혁명적’이라고 표현되는 Renoon은 사용자의 스타일과 지속 가능성 가치에 따라 구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앱이다.

 

Renoon은 소비자가 지속 가능한 패션을 발견하고 액세스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스타일과 개인의 지속 가능성 가치를 결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지속 가능한 패션 제품을 종합한 Renoon은 다양한 웹 사이트의 제품을 한 곳에 모아 그들이 좋아하는 브랜드에서 지속 가능한 컬렉션을 찾고 새로운 레이블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쇼핑앱과의 차이점

 

레논은 현재 스텔라 매카트니, 베스티아이어 콜렉티브, 루이스아비아로마 등 200여개 파트너 브랜드의 100만개 이상의 제품을 플랫폼에 큐레이팅해 신상품과 선애 아이템을 동시에 제공한다. Renoon이 넘쳐나고 있는 다른 쇼핑앱과 가장 큰 차이점은 유럽 최초로 지속 가능한 패션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렌탈 가능성을 제안한 검색 플랫폼이라는 점이다.

 

공동 창업자인 아이리스 스크라미는 21일 패션유나이티드가 참석한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사람들이 가장 쉽고 현명한 방법으로 지속가능한 선택권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인으로서 세상을 바꾸는 것은 어렵지만, 적절한 도구와 기술이 있으면 훨씬 더 쉬워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우리는 패션 소비자에게 스타일이 중요하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새로운 제품을 구매하는 데 죄책감 없이 패션의 재미를 되살리고 싶다”고 전했다. 패션의 지속 가능성에 관심을 갖지만 무엇보다 자신의 스타일이 중요한 패션 소비자들이 플랫폼을 통하여 욕망과 환경이슈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환경을 플랫폼을 통해 구현한 셈이다.

 

의류 인증서 자동처리 독점 기술 개발

 

이 패션 테크 회사는 지속가능한 패션을 구현하기 위해서 쇼핑객들이 사용한 재료, 탄소중립, 비건, 블록체인 추적, 중고, 렌탈과 같은 다양한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지속 가능한 패션을 찾을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지속 가능성 인증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볼 수 있게 해줄 수 있는 기술에 주목했다.

 

이렇게 Renoon은 지속가능성 특성과 의류 인증서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독점 기술을 개발했다. 이 회사의 특허 기술은 소매업체의 패션 제품의 지속 가능성 기능과 인증서를 자동으로 처리하여 소비자가 해당 범주를 기준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사이트에서 분할한다. 이를 통해 고객은 환경보호, 동물복지, 패션업계 종사 여건 등을 의식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패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이슈로 지속가능한 패션에 대한 니즈 상승과 소비자들의 의식수준 향상, 또한 마케팅 패러다임의 변화로 패션업계에서는 많은 변화가 있어왔다. 패션 산업이 그동안 축적해온 다양한 사회, 환경 문제들을 수면위로 올리면서 패션 업계에서 자각의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지속 가능한 패션은 착하기만 하고 매력적이지는 않은 상품이나 서비스라는 편견이 있어 스타일을 중요시 하는 많은 소비자들에게 크게 어필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점에서도 Renoon은 스타일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구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할 만하다.

 

 ◀김자연 

MIT(메사츄세츠공과대학)슬론 경영 대학원에서 ‘과학기술이 패션에 미친 파괴적혁신’이라는 주제의 논문을 발표하고 경영학 석사를 받았다. 4차 산업에서 패션 비즈니스, 리테일, 마케팅 분야에 과학기술이 미치는 혁신적이 영향에 관한 칼럼을 쓰고 있다. 2003년 SBS 슈퍼모델 선발대회 1위로 입상 후 세계 패션도시들에서 패션모델로 활동했다.

FACEBOOK:http://www.facebook.com/jayeonk1

INSTAGRAM:http://instagram.com/jy_newyork

BLOG:http://blog.naver.com/jayeon_kim7

 

MeCONOMY magazine April 2021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