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메뉴

오피니언


[김자연 칼럼] 팬더믹시대 더욱 성장하는 이커머스 시장

 

이커머스에 대한 수요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팬더믹 시대를 맞으면서 오프라인 리테일에 비해 이커머스의 성장세는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여타의 아이템에 비하여 패션 아이템은 피팅이라는 이슈에 대해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

 

이커머스는 그동안 오프라인에 비해 이커머스의 반품률이 높은 카테고리 중 하나였다. 피팅 불량으로 인한 수익률은 전자상거래 업체들에 막대한 손실을 입히는 주요 과제인데, 이는 곧 고객 경험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재구매율을 떨어트리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패션 이커머스에서 피팅 이슈를 해결하고자 하는 솔루션으로 AR 또는 AI기술 등을 이용한 ‘가상 피팅’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은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 이에 따른 피팅룸 시장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Globe Newswire에 따르면 전 세계 가상 피팅룸 시장은 2026년까지 107억5000만 달러에 이를 것이며, 예측 기간 중 22.0%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또한 향후 몇 년 동안 가상 피팅룸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E-tailing에 AR과 VR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어 고객 경험 향상을 위한 기업들의 집중도가 높아짐에 따라 시장에 새로운 기회가 창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TryNDBuy
 

패션 이커머스는 필요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가상피팅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고객이 키, 몸무게, 가슴, 허리, 엉덩이 등 신체 측정 세부 정보를 입력하여 3D 아바타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고객들이 실감나는 아바타를 만들기 위해 자신의 몸매를 닮은 체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기술은 사용자가 옷을 입어볼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AI 기능도 전체적인 어필과 측정을 바탕으로 드레스뿐만 아니라 완벽한 외모를 고객에게 제안하는 가상 스타일리스트 역할을 한다.


이 소프트웨어는 전자상거래 포털의 카탈로그 이미지를 자동으로 3D 의상으로 변환한다. 이는 사용자가 옷을 입은 사용자의 영상이 생성된 후 AI 기반 가상 패션 디자이너의 권고에 따라 사용자가 즉시 바디 모델을 만들고 어떤 옷이든 믹스 앤 매치, 피팅(사이즈 제안뿐 아니라 얼마나 타이트한 옷/느슨한 옷이 자신에게 어울릴지)을 시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AstraFit
 

AstraFit는 미국에 기반을 둔 가상 피팅룸 솔루션 제공 업체이다. 이 회사는 소매점의 온라인 상점에 설치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며 고객이 적합한 옷을 입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회사의 '핏 분석' 알고리즘으로 스마트하게 만들어진 기술은 고객에게 적합함을 입증할 수 있다. 시각화는 각 고객의 개별 신체 매개 변수를 기반으로 하며, 고객은 자신의 2D 신체 모델을 볼 수 있다. 측정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는 신체의 디지털 아바타를 생성하며, 이 아바타는 특정 제품이 그 체형에 어떻게 맞을지를 보여주어 소비자가 간접적 피팅 경험을 제공한다.

 

패션 리테일에서 디지털 피팅 혁명은 점점 더 가속도를내고 있다. 팬더믹 상황을 떠나서도 이미 밀레니얼과 Z세대는 전화기를 통해 약 60%의 구매를 하며 온라인 구매비율은 점점 더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커머스는 소비자의 수요에 대응한 적절한 대응을 위해 테크놀로지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온라인에서의 가상 피팅은 현재까지 대부분의 기술은 AR을 가상 피팅 또는 아바타를 활용한 피팅 등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소비자가 원하는 가상 피팅의 이슈는 단지 스타일을 넘어 정확한 사이즈에 대한 이슈를 정확히 해결하고자 하는 솔루션도 매우 중요한 쟁점이다. 이커머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가상 피팅의 가장 중요한 니즈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가상 피팅 솔루션이야말로 점점 더 치열해지는 가상 피팅 시장에 승자가 될 것이다.

 

MIT(메사츄세츠공과대학)슬론 경영 대학원에서 ‘과학기술이 패션에 미친 파괴적혁신’이라는 주제의 논문을 발표하고 경영학 석사를 받았다. 4차 산업에서 패션 비즈니스, 리테일, 마케팅 분야에 과학기술이 미치는 혁신적이 영향에 관한 칼럼을 쓰고 있다. 2003년 SBS 슈퍼모델 선발대회 1위로 입상 후 세계 패션도시들에서 패션모델로 활동했다.

 

FACEBOOK:http://www.facebook.com/jayeonk1

INSTAGRAM:http://instagram.com/jy_newyork

BLOG:http://blog.naver.com/jayeon_kim7

 

MeCONOMY magazine March 2021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