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31일 금요일

메뉴

경제


옵티머스 투자금, 예상회수율 7.8~15.2%에 불과

펀드 투자자금 5,146억원 중 회수 가능 금액이 많아야 783억원

 

옵티머스자산운용 펀드 투자자금 5,146억원 가운데 회수가 가능 금액이 최소 401억원에서 최대 783억원, 예상 회수율로 보면 최소 7.8%에서 최대 15.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감독원은 11일 삼일회계법인이 지난 7월부터 4개월간 옵티머스 펀드 투자자금의 63개 최종 투자처에 대한 실사를 실시하고 옵티머스에 제출한 최종보고서 내용을 공개했다.

 

실사 결과 총 46개 펀드 설정금액 5,146억원 중 식별 가능한 최종 투자처는 63개, 3,515억원으로 파악됐다.

 

실사법인은 63개 투자대상의 회수 가능성에 따라 등급을 A·B·C로 구분하고 자산별 예상 회수율을 산출했다.

 

예상 회수율 추정치는 전체 펀드 규모(5,146억원) 대비 최소 7.8%에서 최대 15.2% 수준이었다.

 

또 투자액이 확인된 3,515억원은 부동산 PF 사업 1,277억원, 주식 1,370억원, 채권 724억원, 기타 145억원으로 등으로 구성됐으며, C등급이 2,927억원(83.3%)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 외 A등급 45억원과 B등급 543억원은 16.7%였다.

 

펀드 자금(원본 5146억원+이자수취액 81억원)은 1·2차 도관체를 거치는 과정에서 외부자금(517억원)과 혼재돼 최종 투자처 3515억원에 투자되거나 기존 펀드 돌려막기, 횡령 등에 사용됐다.


실사법인은 회수예상가액은 현금 및 예금 81억원과 이관펀드 투자자산 59억원은 투자액 모두를 회수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종 투자처에 대한 투자금액 중 회수가능액은 각각 A등급 35억~51억원, B등급 226억원~337억원, C등급 0억원~255억원으로 추정했다.

 

금감원은 향후 기준가격 조정 등 논의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 펀드투자자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 자산실사 결과 자금사용처가 미확인된 부분에 대해서도 자산회수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현재 진행 중인 검찰수사에 적극 협조한다는 입장이다.

 

금감원은 "실사결과가 도출되었음에도 손해액 확정에는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검사·수사 결과 등을 감안해 법리검토를 실시하고 분쟁조정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던 A기업, 실제 기부액 ‘0 원’
- 김 판매 A기업, “ 수익의 2% 독도경비대에 기부” 홍보 - 독도경비대는 공무원 신분 「 기부금품법 」 따라 기부 불가 - ‘독도의 날’ 마케팅 악용해 허위 홍보, “국민 기만행위 중단해야” 수산물 제품을 판매하는 A기업은 독도의 상징성을 내세워 올해 9월 독도의 날(10월 25일)을 맞아 보조배터리를 판매하며 “판매수익금의 2%는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고 언론을 통해 홍보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 한 푼도 기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이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업의 기부 사실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경찰청은 “A기업이 기부의사를 밝힌 바 없어 인지하지 못했던 상황이며, 독도경비대 대원 모두 공무원 신분이라 기부금품법에 따라 기부금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향후 A기업이 기부 의사를 밝힐 경우에도 받을 수 없음을 설명하고 거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 기업은 독도경비대 기부 미납 실태에 대해 “보조배터리를 제조한 B기업이 독단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자사는 해수부가 문의한 오늘에야 인지했다”며 “B기업이 ‘독도경비대’와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