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31일 금요일

메뉴

정치


[리얼미터] 남북 선제적 개성공단 재가동…찬성 43.6% ·반대 45.8% '팽팽'

충청권 및 호남 '찬성' 응답 우세, 서울·TK·PK '반대' 응답 더 많아

 

미국 대통령으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면서 새 행정부의 대북 정책이 정해지는 데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공백 기간 동안 남북이 합의해 선제적으로 개성공단을 재가동하는 방안이 논의되는 가운데 국민 여론은 찬반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11일 '오마이뉴스' 의뢰로 선제적 개성공단 재가동 찬반을 조사한 결과 '찬성한다'라는 응답이 43.6%, '반대한다'라는 응답이 45.8%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은 10.6%였다.

 

선제적 개성공단 재가동 찬반에 대해 권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광주·전라는 찬성 66.9%, 반대 31.3%였고, 대전·세종·충청은 찬성 53.5%, 반대 34.6%로 '찬성한다'라는 응답이 더 많았다.

 

반면 대구·경북은 찬성 34.1%, 반대 60.6%였고, 서울은 찬성 32.1%, 반대 52.2%, 부산·울산·경남은 찬성 38.9%, 반대 49.7%로 '반대한다'라는 응답이 많았다. 인천·경기에서는 찬성 46.2%, 반대 43.1%로 팽팽하게 갈렸다.

 

연령대별로는 30대에서 찬성 40.8%, 반대 54.1%, 70세 이상 찬성 35.4%, 반대 48.8%로 10명 중 절반 이상은 선제적으로 남한과 북한이 개성공단을 재가동하는 방안에 대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는 찬성 46.2%, 반대 45.7%, 50대 찬성 46.2%, 반대 44.0%, 20대 찬성 43.3%, 반대 42.2%, 60대 찬성 47.1%, 반대 41.7%로 두 의견이 비슷했다.

 

이념성향에 따라서도 찬반 응답이 갈렸다. 보수층의 10명 중 6명 정도인 61.5%가 '반대한다'라고 응답했지만, 진보층 10명 중 7명 정도인 70.8%는 '찬성한다'라고 응답해 결과가 대비됐다. 중도층에서는 찬성 35.4%, 반대 55.9%로 선제적 개성공단 재가동에 대해 부정 평가가 우세했다.

 

지지하는 정당에 따라서도 찬반이 갈렸다. 민주당 지지자 가운데 76.4%는 찬성했지만, 국민의힘 지지자 중 76.6%는 반대한다고 응답했다. 무당층에서도 ‘찬성’ 25.7% vs. ‘반대’ 53.9%로 반대한다는 부정응답이 많았다. 다만 '잘 모르겠다'라는 유보적 응답이 20.4%로 평균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일 전국 만 18세 이상 9,275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이뤄졌으며, 응답률 5.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던 A기업, 실제 기부액 ‘0 원’
- 김 판매 A기업, “ 수익의 2% 독도경비대에 기부” 홍보 - 독도경비대는 공무원 신분 「 기부금품법 」 따라 기부 불가 - ‘독도의 날’ 마케팅 악용해 허위 홍보, “국민 기만행위 중단해야” 수산물 제품을 판매하는 A기업은 독도의 상징성을 내세워 올해 9월 독도의 날(10월 25일)을 맞아 보조배터리를 판매하며 “판매수익금의 2%는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고 언론을 통해 홍보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 한 푼도 기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이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업의 기부 사실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경찰청은 “A기업이 기부의사를 밝힌 바 없어 인지하지 못했던 상황이며, 독도경비대 대원 모두 공무원 신분이라 기부금품법에 따라 기부금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향후 A기업이 기부 의사를 밝힐 경우에도 받을 수 없음을 설명하고 거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 기업은 독도경비대 기부 미납 실태에 대해 “보조배터리를 제조한 B기업이 독단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자사는 해수부가 문의한 오늘에야 인지했다”며 “B기업이 ‘독도경비대’와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