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31일 금요일

메뉴

정치


서울시장 출마 김선동 "안철수·금태섭 다 환영…이들도 공정 경선룰 보장돼야"

"1%대 노무현 대통령 만든 근성, 우리는 1%도 갖추지 못해"
"1 대 1 지명 토너먼트식 토론으로 후보 검증하는 방법도 좋을 듯"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의향을 밝힌 김선동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의원이 4일 "안철수 대표, 금태섭 전 의원 다 좋다. 환영한다"라며 이들에게도 공정한 경선 룰이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같이 말하며 "범야권에서 최적의 후보를 내세워 반드시 승리한다면 정말 좋은 일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또한 공정한 룰이 이 분들에게도 보장돼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김 전 의원은 "언론에서 띄우면 닭이 모이를 쫓아 모여들 듯 당외인사 얘기가 분분해진다"라며 "이런 풍토에서는 미스터트롯의 임영웅과 같은 흙 속의 진주는 찾아지기 어렵다"라고 했다.

 

이어 "과거 1%대의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만드는 근성을 우리는 1%도 갖추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또 "당내 인사들이 나서서 이제 자신들이 경험한, 자신들이 알고 있는 우리당 후보들의 장점을 이야기하기 시작해야 한다"라며 "지도부만 보고 뭐라 해선 안 된다. 지도부는 지도부 나름의 고민이 있는 것"이라고 했다

 

경선룰에 대해선 후보들 간 공개적 일대일 토너먼트식 토론을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당원 대 일반 국민의 비율 문제는 밤낮 이야기 해도 대차 없고 국민 앞에 감동도 없는 식상한 얘기"라며  "비율이 어찌 되든 관심 없다. 서울시장선거쯤 되면 민심과 당심은 결국 함께 간다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요한 것은 서울 시장이 되겠다는 사람이 갖고 있는 생각과 컨텐츠의 '보따리를 풀 무대'만 제대로 마련해 주면 된다는 생각"이라며 "후보를 다 불러놓고 시간 맞추느라 공통질문이니 뭐니 하며 정책 쪼가리 외워 시험 보듯 하는 토론이 아니라 후보의 철학과 신념부터 정책 콘텐츠까지 살필 수 있는 진짜배기 토론을 하면 좋겠다"라고 했다.

 

김 전 의원은 "토론하고 싶은 상대를 1 대 1로 지명해 토너먼트식 토론을 거듭하며 후보를 검증해 가는 방법도 좋을 듯하다"라며 "중간에 패자부활전도 넣는다면 더욱 흥미진진해 질 것"이라고 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던 A기업, 실제 기부액 ‘0 원’
- 김 판매 A기업, “ 수익의 2% 독도경비대에 기부” 홍보 - 독도경비대는 공무원 신분 「 기부금품법 」 따라 기부 불가 - ‘독도의 날’ 마케팅 악용해 허위 홍보, “국민 기만행위 중단해야” 수산물 제품을 판매하는 A기업은 독도의 상징성을 내세워 올해 9월 독도의 날(10월 25일)을 맞아 보조배터리를 판매하며 “판매수익금의 2%는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고 언론을 통해 홍보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 한 푼도 기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이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업의 기부 사실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경찰청은 “A기업이 기부의사를 밝힌 바 없어 인지하지 못했던 상황이며, 독도경비대 대원 모두 공무원 신분이라 기부금품법에 따라 기부금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향후 A기업이 기부 의사를 밝힐 경우에도 받을 수 없음을 설명하고 거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 기업은 독도경비대 기부 미납 실태에 대해 “보조배터리를 제조한 B기업이 독단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자사는 해수부가 문의한 오늘에야 인지했다”며 “B기업이 ‘독도경비대’와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