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일 한일관계 문제 해법과 관련해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2일 자 일본 도쿄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내가 일본에 적대적이라는 견해가 있지만,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 한일은 밀접한 관계에 있고 서로 무시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지사는 "이웃을 배려하는 일본 사람의 모습은 훌륭하다"면서도 "일본의 일부 정치인들은 군국주의, 팽창주의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 정치 외교와 경제 사회의 문제를 구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현재 한일 간 최대 현안인 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문제에 대해선 이 지사는 "사람이 만든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 방법은 있을 것"이라며 "서로의 용기와 결단이 있으면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한국은 삼권 분립의 원칙이 있다"라며 "(대법원의) 재판 결정에 정치가 개입할 수 없는 것을 일본은 이해하길 바란다"라고 했다.

또 지난해 일본 정부가 한국 기업에 수출 제재를 가한 것에 대해 "일부 고통을 주는 효과는 있었지만 일본 기업도 손해를 봤다"라며 "경기도에 진출하려는 일본 기업이 있으면 정치적인 이유로 방해하지 않고 받아들였다. 한국의 고용과 경제도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윈윈'의 길을 찾아 관계 개선으로 이어가야 한다"라고 했다.
남북 관계가 정체된 것에 대해선 "유럽 경제·평화·안보 공동체처럼 동북아 전체의 공동체를 지향해 나갈 필요가 있다"라며 "남북한과 일본, 미국, 중국, 러시아가 적대하지 않고 서로 돕는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길 아닌가"라고 했다.
이어 "비핵화 협상에서 한국은 인내심을 가지고, 북미가 합의 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지원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