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메뉴

경제


대기업 4곳 중 1곳 “올해 상반기 채용 규모 축소”

채용 증가 5.6%에 불과

 

올해 상반기 중 국내 대기업 4개사 중 1개사는 작년 동기대비 채용 규모를 줄이거나 아예 한 명도 뽑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채용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기업도 3개사 중 1개사 꼴이었다.

 

11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종업원 수 300인 이상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0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 126개사 중 27.8%가 올해 상반기 채용을 축소하거나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중 채용을 줄이는 기업은 19.0%고, 한 명도 뽑지 않는다는 기업은 8.8%였다.

 

또한 상반기 채용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기업은 32.5%며,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은 5.6%에 불과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대기업 채용 조사가 실시된 기간은 2월5~19일로,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직전이었다”며 “최근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대기업 고용시장은 이번 조사 결과보다 훨씬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기업들이 대졸 신규채용을 늘리지 못하는 이유는 ▲국내외 경제·업종 상황 악화(43.6%) ▲회사 내부상황 악화(34.6%) ▲신입사원 조기퇴사·이직 등 인력유출 감소(24.4%) ▲인건비 부담 증가(19.2%) ▲신규채용 여력 감소(10.3%) 등이었다.

 

기업들은 올해 채용시장 특징에 대해 ▲경력직 채용 증가(62.7%) ▲대졸 신입 수시채용 증가(51.6%) ▲정규직 전환형 인턴제도 도입 증가(26.2%)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규채용 확대(26.2%) ▲블라인드 채용 확산으로 전형과정의 공정성 강화(15.1%) ▲채용연계형 산학협력 장학생 확대(7.1%) 등을 꼽았다.

 

관련해서 대졸 신입채용에서 수시채용을 이미 도입한 기업은 52.4%, 도입할 계획인 기업은 14.3%였다.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인원은 올해 전체 대졸 신규채용 인원의 절반을 넘는 58.6%로 나타났다.

 

또한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 인원 중 이공계 선발 비중은 평균 61.5%를 보여 지난해 상반기(57.5%)보다 이공계 선호가 4.0%p 증가했다.

 

4차 산업혁명 12가지 기술 중 기업들이 가장 인력이 필요한 분야는 ▲빅데이터(63.5%) ▲인공지능(38.9%) ▲사물인터넷(24.6%) ▲첨단소재(21.4%) ▲로봇(20.6%) ▲신재생에너지(20.6%) 순이었다.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적인 연봉은 3,999만원(월 333만원)으로 조사됐다.

 

응답 구간별로는 ▲4,000~4,500만원 32.5% ▲3,500~4,000만원 27.7% ▲3,000~3,500만원 18.3% ▲4,500~5,000만원 13.5% ▲5,000~5,500만원 4.0% ▲5,500~6,000만원 1.6% ▲3,000만원 미만 1.6% 순으로 나타났다.

 

대졸 신규채용을 늘리기 위해 정부와 국회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에 대해서는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 투자활성화 유도(50.0%) ▲고용증가 기업에 세제 혜택 등의 인센티브 확대(49.2%) ▲신산업‧신성장동력 육성 지원(35.7%)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31.7%) ▲미스매치 해소(19.0%) 순으로 지적됐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속옷 저항’ 윤석열 구치소 CCTV 영상 온라인 유출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당시 서울구치소에서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CCTV 영상 일부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2일 온라인상에서 퍼진 19초짜리 구치소 영상에는 윤 전 대통령이 자리에 앉아 특검을 향해 고개를 돌리며 무언가 말하는 장면과 난감해하는 집행관들의 모습도 그대로 포착됐다. 앞서 여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지난 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현장 검증을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 대한 CCTV 등 영상 기록을 열람한 바 있다. 여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은 CCTV 영상 열람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은 속옷 차림으로 누워 집행을 거부하면서 ‘나에게 강제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강력하게 반발했다”며 “그러면서 변호인을 만나겠다고 하는 등 집행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영상은 열람 현장에 참석했던 국회 관계자가 영상을 촬영해 유출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지만, 국회 법사위원 쪽은 영상 촬영 및 유출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법무부 측은 영상 유출 경위 파악에 나섰고,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법적 대응 여부를 논의 중이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