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메뉴

경제


한국의 중국 시장점유율, 2015년 이후 하락세 지속

중국 전체 수입시장 점유율, 2015년 10.4% → 2019년 8.5%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 점유율, 2016년 7.9% → 2018년 5.4%
재중 한국 기업, 투자액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률 모두 감소세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UN Comtrade 무역통계를 이용해 2010년부터 2019년 11월까지 중국 전체 수입시장에서 한국, 일본, 미국, 독일 등 상위 4개국의 시장점유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2015년 10.4%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9년 8.5%로 줄어들었다.

 

 

또한 중국 정부가 ‘중국제조 2025’를 표방하며 자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속 지원하면서 2015년과 비교해 2019년 일본, 미국, 독일의 시장점유율 역시 하락했다.

 

일본은 8.5%에서 8.3%, 미국은 8.9%에서 6.0%로, 독일은 5.2%에서 5.1%로 떨어졌다.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각국의 위상 변화를 알 수 있는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 점유율 추이를 보면 한국은 2016년 7.9%로 최고를 기록한 후 2018년 5.4%로 2.5%p 하락했다.

 

아세안은 2011년 10.2%에서 2018년 12.1%로 중국 내 시장점유율이 증가했다.

 

 

중국에 있는 한국 기업의 투자액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률도 감소세를 보였다.

 

재중 한국 기업의 투자액 대비 매출액은 2013년 7.3배를 정점으로 2017년 4.5배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도 2013년 4.9%에서 2017년 3.8%로 낮아졌다.

 

전기·전자, 자동차 분야는 지난해까지 반도체 단가급락, 스마트폰·승용차 판매 부진이 계속되면서 시장점유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한국 브랜드 자동차 시장점유율은 2014년 9.0%에서 2019년 1~4월 4.8%였고, 삼성 휴대전화 점유율은 2014년 1분기 19%에서 2019년 1분기 1.0%로 줄었다.

 

이런 가운데 올해 1월 워싱턴에서 G2인 미국과 중국이 약 2년에 걸친 치열한 협상 끝에 1단계 무역협상을 타결함에 따라 향후 미국 기업의 중국 수입시장 접근도가 개선되면서 한국 기업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더욱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의로 중국은 미국산 제품과 서비스 구매를 확대하기로 했는데, 중국의 대미 공산품 수입액은 2017년 788억 달러에서 2021년 1,565억 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해 수입비중은 같은 기간 9.1%에서 18.0%로 8.9%p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 수입시장에서 미국의 시장점유율은 공산품 뿐만 아니라 농산품, 에너지, 서비스 품목에서도 증가할 예정이어서 한국 기업의 중국 시장 공략이 더욱 쉽지 않게 됐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중국은 지난해 말 1인당 GDP 1만 달러 시대에 접어들었고, 중국 정부도 내수시장 개방을 확대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기업을 벤치마킹해 중장기 전략을 다시 세워야 하고,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의 다변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속옷 저항’ 윤석열 구치소 CCTV 영상 온라인 유출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당시 서울구치소에서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CCTV 영상 일부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2일 온라인상에서 퍼진 19초짜리 구치소 영상에는 윤 전 대통령이 자리에 앉아 특검을 향해 고개를 돌리며 무언가 말하는 장면과 난감해하는 집행관들의 모습도 그대로 포착됐다. 앞서 여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지난 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현장 검증을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 대한 CCTV 등 영상 기록을 열람한 바 있다. 여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은 CCTV 영상 열람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은 속옷 차림으로 누워 집행을 거부하면서 ‘나에게 강제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강력하게 반발했다”며 “그러면서 변호인을 만나겠다고 하는 등 집행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영상은 열람 현장에 참석했던 국회 관계자가 영상을 촬영해 유출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지만, 국회 법사위원 쪽은 영상 촬영 및 유출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법무부 측은 영상 유출 경위 파악에 나섰고,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법적 대응 여부를 논의 중이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