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메뉴

정치


뇌물 등 불법 소득 건당 평균 불법 소득 7,065만원…소득세 평균 1,916만원

올해 9월까지 유죄 확정판결 뇌물 등 사건 중 598건 과세 못 해
건당 1억1,334만원, 최근 5년 평균 대비 1.6배 많아

 

뇌물·알선수재·배임수재 등 뇌물 사건 1건당 불법 소득은 평균 7,065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세청이 2014년부터 작년까지 5년간 뇌물 등으로 얻은 불법소득 3,025건에 대해 소득세를 부과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현행 소득세법상 뇌물·알선수재·배임수재로 소득이 있는 경우 그것이 비록 불법 소득이라도 기타소득으로 간주돼 소득세를 내야 한다. ‘소득없이 과세없다’는 원칙이 적용되는 것이다.

 

정상도득에만 과세하고 불법소득에 과세하지 않으면 조세 공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이 입법 취지이기도 하다.

 

김 의원에 따르면 국세청은 매년 대검찰청으로부터 법원에서 최종 확정된 뇌물 등 범죄사건을 넘겨받아 이를 바탕으로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7,951건에 대해 소득세를 부과했다.

 

뇌물 등으로 연루된 금액은 총 5,570억원이고, 1건당 연루 금액은 평균 7,005만원이었다.

 

국세청은 이 중 38%인 3,025건(뇌물 등 확정금액 2,137억원)에 대해 소득세 579억6,000만원을 거둬들였다.

 

뇌물 등 사건으로 유죄판결이 확정돼 소득세 부과대상이 된 불법소득액은 건당 7,065만원이었고, 거둬들인 건당 평균 소득세는 1,916만원이었다.

 

나머지 62%인 4,926건(뇌물 등 연루 금액 3,432억원)은 무죄 판결이었거나 유죄 판결이 내려졌지만, 불법 소득이 이미 몰수돼 소득세를 부과할 수 없어 과세 제외된 경우다.

 

뇌물 등 불법소득 취득 후 정상적으로 소득세를 납부하는 경우도 있었다.

 

국세청의 뇌물 등 불법소득에 대한 소득세 부과 상황을 보면 2015년 이후 매년 전체 부과액과 사건당 부과액수가 늘어났다.

 

2017년 전체 소득세 부과액은 103억원으로 건당 소득세 부과액은 2,103만원이었고, 지난해에는 187억원, 2,362만원이었다. 각각 81%, 12% 늘어난 규모다.

 

 

국세청은 올해도 대검찰청으로부터 확정판결된 뇌물 등 사건 1,548건을 넘겨 받아 총 2,284건에 과세처리 중이다. 다만, 이 중 26.2%인 598건(678억7,000만원)은 올해 9월 현재 과세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당 건들은 건당 1억1,334만원으로 평균액(7,065만원)보다 1.6배 많다.

 

김 의원은 ‘고액 사건들을 처리하지 않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제기되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미처리 사건은 서울청이 269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고, 중부청(146억3,000만원), 대전청(66억1,000만원), 부산청(64억9,000만원) 순이었다.

 

한편, 김 의원은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이 재판에서 다투고 있는 뇌물액 각각 119억원, 86억원이 최종 확정되면 두 전직 대통령이 내야 할 소득세는 각각 41억원, 32억원 등 총 74억원가량으로 추정했다. 이는 뇌물 수령 당시 최고세율(3억원 이상 각각 35%, 38%)를 적용한 것이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