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경제


한경연 “한·일 휴가철 관광교류 위축으로 양국 경제 모두 위축”

생산유발효과:韓 399억원 감소 vs 日 3,537억원 감소(韓의 약 9배)
부가가치유발효과:韓 54억원 감소 vs 日 1,784억원 감소(韓의 약 33배)
취업유발효과:韓 272명 증가 vs 日 2,589명 감소
“방한 일본인 수 감소세로 전환되면 국내 경기에 피해 확대될 것”

 

올해 여름 휴가기간인 7~8월 중 일본을 찾는 한국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일본경제에 상당한 악영향이 초래됐고, 한국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6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양국간 방문 여행객 수 및 여행 항목별 지출액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업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2019년 7~8월 중 방일 한국인 감소에 따른 일본의 생산유발 감소액은 3,537억원, 부가가치유발 감소액은 1,784억원, 취업유발 감소인원을 2,589명에 달했다.

 

한국 역시 방한 일본인이 증가하기는 했지만, 방일 한국인 급감에 따른 국내 항공운송 관련 산업에 대한 부정적 영향으로 생산유발액이 399억원 감소했고, 부가가치유발액도 54억원 줄었다. 다만, 취업유발 인원은 272명 증가했다.

 

한국관광공사와 일본정부관광국에 따르면 2018년 여름 휴가철인 7~8월 중 방일 한국인 수는 87만4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7.6%(33만1,494명) 감소했고, 같은 기간 방한 일본인 수는 지난해보다 10.8%(5만8,945명) 늘어난 60만4,482명이었다.

 

 

한국의 경우 올해 7~8월 중 양국 관광객의 여행 지출로 인한 생산유발액은 1조1,49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1,898억원보다 399억원 감소했다.

 

방한 일본인 관광객 증가로 도·소매, 숙박, 음식 등과 관련한 산업 생산은 증가했지만, 방일 한국인 관광객의 급감으로 국내 항공운송서비스의 생산유발액은 크게 줄었다.

 

주요 부문별 전년동기대비 생산유발액 증감은 ▲도·소매·상품중개서비스 195억원 ▲숙박서비스 182억원 ▲음식점·주점 117억원 항공운송서비스 –995억원이었다.

 

일본의 생산유발액 감소폭은 한국의 약 9배에 달했다.

 

7~8월 중 관광객의 여행지출로 인한 일본의 생산유발액은 전년동기(1조3,186억원) 대비 3,537억원 줄어든 9,649억원에 그쳤다.

 

주요 부문별 전년동기대비 생산유발액 감소폭은 ▲숙박업 –1,188억원 ▲음식서비스 –1,019억원 ▲소매 –771억원 순으로 조사됐다.

 

 

부가가치유발액 역시 양국에서 감소했다.

 

한국의 경우 양국 관광객의 여행지출로 인한 부가가치유발액은 4,590억원으로 지난해 7~8월 4,644억원보다 54억원 줄었다.

 

주요 부문별로는 ▲도·소매·상품중개서비스 96억원 ▲숙박서비스 89억원 ▲음식점 및 주점 43억원 ▲항공운송서비스 –328억원이었다.

 

일본의 부가가치유발액은 4,773억원으로, 같은 기간 6,557억원 대비 1,784억원 줄어든 규모다.

 

주요 부문별 전년동기대비 부가가치유발액 감소폭은 ▲숙박업 –532억원 ▲소매 –481억원 ▲음식서비스 –462억원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취업유발인원은 지난해 대비 272명 증가한 6,748명이었다.

 

주요 부문별 취업유발인원 증감은 ▲도·소매·상품중개서비스업 194명 ▲숙박서비스 140명 ▲음식점 및 주점 113명 ▲항공운송서비스 –253명 등이다.

 

일본의 취업유발인원은 ▲소매 –890명 ▲음식서비스 –887명 ▲숙박업 –588명 등 지난해 9,890명보다 2,589명 줄어든 7,301명으로 집계됐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올해 7~8월 중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 관광객 수가 늘었음에도 생산유발액과 부가가치유발액이 감소한 것은 우리 항공산업의 피해 때문”이라며 “양국 관계악화가 지속돼 방한 일본인 관광객마저 줄어든다면 국내 경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서가 승인해 놓고 불법이라고?...국민혈세 400억 낭비될 위기
일선 경찰서의 승인 하에 설치된 시설물을 경찰청 본청이 ‘불법’으로 규정하고 철거를 지시하면서 최소 400억 원 이상의 국민 혈세가 낭비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진행된 국감에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모경종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같은 경찰청의 정책 혼선은 지난 1년간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전국 지자체들은 어린이보호구역, 사고 위험 교차로 등에 교통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스마트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를 확대해왔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지자체는 관할 경찰서에 협의를 요청했고, 일선 경찰서들은 "사고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는 등의 공문을 보내 사실상 설치를 승인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경찰청은 2024년 8월, 돌연 전국 시·도 경찰청에 “전국 통일된 규격과 지침을 제정하고 있다”며 추가 설치를 중단하라는 공문을 하달했다. 그리고 1년 뒤인 2025년 7월, 해당 시설물이 “과도한 정보 제공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켜 교통안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표준 규격으로 ‘불채택’ 결정을 내렸다. 심지어 경찰청은 불채택 결정 바로 다음 날에 이미 설치된 시설물들이 「도로교통법」에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