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메뉴

정치


소득·재산 안 보고 뽑은 ‘50년 공공임대’…주차장에는 억대 BMW

무주택에 청약저축만 있으면 입주 가능…‘영구임대’와 달리 소득·재산 안 봐
2만5,742세대 중 차량 2대 이상 가구 3,038세대…고가 외산차 188대 등록

소득 및 재산에 상관없이 무주택에 청약통장만 있으면 입주자격이 주어지는 ‘50년 공공임대’에 서민과 거리가 먼 가구가 상당수 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일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주택관리공단의 자료 ‘50년 공공임대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50년 공공임대 전체 2만5,742세대 중 차량을 2대 이상 보유한 가구가 3,038세대에 이르고, 고가 외산차 또한 188대가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공공주택 중 ‘영구임대’는 ▲무주택 세대(구성원) ▲도시근로자가구 월소득 70% 이하(3인 가구, 월평균 소득 350만원 이하) ▲가구 총자산 2억8,000만원 이하 ▲자동차 가액 2,499만원 이하여야 지원이 가능한데, 입주 및 거주 간 소득과 자산에 대한 심사가 강화됐으며 고가차량에 대해서는 주차 등록을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50년 공공임대’에 대해서는 사회적 감시가 허술한 것이 현실이다.

 

1993년 저소득층, 탈북자, 사할린 동포 등의 주거 안정을 위해 영구임대와 함께 국고지원을 받아 공급된 ‘50년 공공임대’는 애초에 영세서민이 입주 대상이었기 때문에 소득과 자산에 대한 기준 없이 ‘무주택 세대구성원’만을 자격으로 삼았다.

 

25년 정도가 지난 지금, 제도의 취지가 악용될 소지가 높아졌다는 것이 김 의원의 지적이다.

 

여전히 ‘50년 공공임대’는 무주택 및 청약통장으로만 입주자를 선정하고 있으며, 정기적 자산 조사 또한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자기 명의의 주택은 없지만, 고소득 자산가 일부가 ‘50년 공공임대’를 주거수단으로 삼고 있다는 민원이 제기된다. 서울 신림단지의 경우 50년 공공임대 전세금은 인근 시세대비 30% 수준이다.

 

관련해서 간접적으로 재산 상황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차량대장을 전수조사해 본 결과 50년 공공임대 10가구 중 1가구(3,038세대)가 차량을 2대 이상 갖고 있었다.

 

특히 구미인의 단지의 경우 30.9%(234세대), 서울 신림2 28.6%(234세대), 대구 가람1 23.2%(122세대), 천안 쌍용 20.2% 등 입주민 5가구 중 1가구 이상이 차량을 2대 이상 소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게다가 외산차 등록 대수도 188대에 달했다.

 

BMW 58대, 벤츠 27대, 폭스바겐 23대, 아우디 16대 등 유명 제조사 차량은 물론이고, BMW 740, BMW 640, 벤츠 S350 등 억대를 호가하는 차종도 있었고, 아우디 A6, 볼보 S60, 재규어 등 수천만원대를 호가하는 수입차도 즐비했다.

 

2019년 8월 기준 ‘영구임대’ 입주자의 고가차량 대수가 69대인 것을 감안하면 ‘50년 공공임대’ 입주자격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

 

김 의원은 “소득과 재산을 묻지도 않고 공공주택을 제공하는 것은 현 국민 정서와 거리가 먼, 시효가 지난 정책”이라며 “관계부처는 이른 시일 내 입주가구의 소득과 자산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50년 공공임대’의 법령 및 운영상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