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


[한국갤럽] 국민 “日, 호감 간다” 12%…1991년 이후 최저치

“비호감이다” 77%…“한일 분쟁, 책임은 일본 정부” 61%
향후 1년 경기전망…“좋아질 것” 12%, “나빠질 것” 57%

 

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10% 초반대로 떨어졌다는 여론조사결과가 나왔다.

 

12일 한국갤럽은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005명에게 일본에 대한 호감 여부를 물은 결과 “호감 간다(이하 호감도)”는 응답은 12%로, 1991년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호감도를 보였다고 밝혔다.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20%를 밑돈 것은 2015년 광복 70주년 삼일절을 앞두고 이뤄진 조사에서 17%를 기록한 이후 처음이다.

 

“호감이 가지 않는다(이하 비호감도)”는 응답은 77%였고, ‘모름/응답거절’은 10%였다.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1991년 조사를 시작한 이후 부침을 겪어 왔다.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 이듬해인 2003년 35%, 일본의 시네마현 ‘독도의 날’ 제정 조례안이 통과된 2005년에는 20%, 2011년 일본 대지진 발생 직후 조사에서는 4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40%를 넘은 것은 이때가 유일하다.

 

한국갤럽은 이에 대해 한국인의 일본 정부, 내각 수반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는 결과로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다섯 차례의 조사에서 한국인의 아베 총리에 대한 호감도는 3~6%에 그쳤고, 비호감도는 약 90%였다.

 

또한 일본 사람에 대한 호감 여부에 대해서는 “호감이 간다”는 41%,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43%였다.

 

연령대별로 20대에서는 일본인 호감도(51%)가 비호감도(29%)를 앞섰고, 30~50대는 호감·비호감이 모두 40%대로 비슷했다. 60대 이상에서는 호감도(32%)보다 비호감도(51%)가 높았다.

 

이번 일본의 수출규제 책임이 어느 정부에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일본 정부에 책임이 있다”는 응답이 61%, “한국 정부에 책임이 있다” 17%, “양측 모두”는 13%였다.

 

특히, 20·30대(74%·79%)와 진보층(81%) 등에서 “일본에 책임이 있다”는 응답이 두드러졌다.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는 유일하게 “한국 정부에 책임이 있다(40%)”는 응답이 “일본 정부에 책임이 있다(33%)”는 응답을 앞섰다.

 

일본산 제품 불매 운동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67%가 “참여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27%였고, 6%는 의견을 유보했다.

 

한편, 향후 1년 경기 전망에 대해서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12%에 불과했다.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은 57%,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29%였다.

 

낙관 전망은 지난달보다 3%p 줄었고, 비관 전망은 8%p 늘었다.

 

한국갤럽은 14개월 연속 비관 전망이 낙관 전망을 앞선 것으로, 2017년 9월 이후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살림살이에 대해서는 14%가 “좋아질 것”이라고 답했고, 33%가 “나빠질 것”, 50%는 “비슷할 것”이라고 했다.

 

향후 1년간 실업자 증가 여부와 관련해서는 57%가 “증가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내놨고, “감소할 것”·“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각각 15%, 22%였다.

 

노사분쟁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5월 49%, 6월 57%, 7월 61%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자세한 설문조사 결과는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