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오피니언


<김자연 칼럼> 동물을 죽이지 않는 '바이오' 가죽


가죽은 내구성과 신축성이 뛰어나다. 그래서 자동차시트부터 핸드백까지의 기능적 부분이 중요시 되는 다양한 제품에 쓰인다. 가죽특유의 강한 이미지 덕분에 심미적인 부분에서도 카우보이에서 로커와 같은 강한 이미지의 패션에서 인기 있는 소재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활용으로 오늘날 세계 가죽사업은 일 년에 100조 달러가 넘는 규모로 성장했다. 


현재 가죽제품은 인조가죽보다는 동물의 가죽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가죽의 사용은 여러 가지 이슈가 있다. 즉, 가죽 사용문제는 동물 보호 문제와 환경문제 등에 민감한 사안이 된다. 동물보호론자와 환경보호론자들에게 끊임없이 논란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가죽의 수요와 공급의 문제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지난 수 십 년간 고기 소비량이 줄어듦에 따라 미국의 소 숫자도 32%나 줄어들었다. 반면에 세계 여행 인구의 증가와 소비자의 부의 증가로 인한 가죽제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배양된 세포조직으로 생체 적합 물질 가죽 만들어


미국 뉴욕에 소재한 바이오테크 회사인 모던 메도(Modern Meadow)는 실제 동물의 가죽 없이 배양된 세포와 조직으로 생체 적합 물질의 가죽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가죽은 가죽의 기본적인 생물학적 요소가 동물의 가죽이 아니라 콜라겐이라고 부르는 섬유와 같은 구성의 콜라겐으로 만들어 진다. 모던 메도는 원래 가죽을 만들기 위해 피부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을 사용했었지만 최근에 가죽 제조방법을 수정했다. 현재는 화학공학 발효법을 사용하여 콜라겐을 직접 추출하고있다. 모던 메도의 연구자들은 설탕을 공급할 때 콜라겐을 생산하는 효모 균주를 생체 공학 처리, 동물가죽과 거의 구별 할 수 없는 물질을 만들기 위해 정제, 조립 및 무두질하여 가죽을 만들어 낸다.




모던 메도의 CEO인 안드라스 포각스(Andras Forgacs)는 “생물학은 현재 엄청난 혁신의 단계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디지털은 생물학에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으며, 단지 DNA를 읽을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DNA를 변형하고 재조합 할 수 있다는 것은, 원하는 형태의 DNA를 레고 블락을 여러 가지로 조합 할 수 있다는 것과 비슷한 의미”라고 밝혔다. 또한“이러한 작업은 비용적인 면에서도 현저히 줄어들고 있어 이러한 기술이 훨씬 더 접근하기 쉽고 저렴하여 DNA를 읽고 재조합하는 것이 의학을 초월한 소비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버섯류에서 추출한 균사체 세포 배양
‘핸드백과 지갑 만들어’


미국 샌프란시스코 베이스 스타트업 회사인 마이코웍스(MycoWorks)는 버섯류에서 추출한 균사체의 세포를 컵에서 배양해 만든 제품으로 핸드백과 지갑 등을 만드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마이코 웍스의 창업자인 필로스(Phil Ross)는 90년대부터 버섯을 재배하면서 버섯균 특유의 특성을 통해서 이러한 기술을 발견해 냈다. 


균류에 속하는 버섯은 균사체에서 시작되는데, 균사체는 포자가 발아되면서 생성된 균사가 서로 얽혀 신경조직망처럼 복잡하게 얽힌 망을 형성한다. 이런 과정으로 형성된 버섯균사체는 토양을 견고하게 응집시키는 능력이 있다. 마이코 웍스는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내구성이 좋은 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현재는 영지버섯을 이용해 가죽제품을 만들고 있다. 또한 천연 가죽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가죽을 생산하면 2년가량이 필요하지만 이 방법은 공정 방법도 일주일 이내로 매우 짧은 편이다. . M이코노미매거진 11월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MeCONOMY magazine November 2017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지역관광 / 고종원 외 5명 공저 / 발행일 2025-08-20 / 정가 32,000원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