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29일 금요일

메뉴


도시보다 심각한 농촌의 양극화현상


 
통계청이 2010년 실시한 농림어업 총 조사 결과를 보면 2010년 농가 인구 306만2956명 가운데 50대 이상 비중이 61%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연령층은 60대로, 전체 농가 인구의 20.3%를 차지했다. 농촌에는 60대가 ‘청년회’가 되어 주축멤버로 활동한다. 고령화가 심화되었다는 말이다. 농가 인구 3명중 한명(31.8%)이 65세를 넘긴 노인, 이것이 우리의 농촌현실이다. 젊은 사람들은 힘든 노동을 기피한다. 소수지만 그나마 남아 있는 젊은 사람들마저도 도시로 나가야 할 상황이다. 농사를 짓는 부모들은 자식들이 대를 이어 농사짓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농촌에서 확실한 비전이 구축이 되어 있지 않으니 농촌을 떠나라고 할 수 밖에 없다. 본지는 농촌경제를 알아보기 위해 직접 농민들을 만나보고 심각한 농촌의 양극화현상을 취재했다.

지난달 전라북도 김제의 한 비닐하우스. 이곳에서는 상추와 케일 등 친환경 방식으로 채소를 재배하고 있다. 여기서 일하는 농민들은 대부분 노인들이다. 할머니들 사이에 외국인도 눈에 띄었다.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에서 왔다는 20대 중후반의 외국인노동자들은 우리나라에 온지 2년 됐다고 했다. 젊은 사람들이라 일하는 속도는 노인들에 비해 훨씬 빨랐다. 농장주인 김복기 씨(66세, 남)는 “외국인 노종자의 작업 속도가 노인들보다 30%정도 더 빨라서 작업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했다. 그래서 농촌에서는 파종부터 상품으로 완성되는 포장까지 외국인 노동자들의 손을 빌리고 있었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우리나라 제조업과 서비스업뿐만 아니라 농촌까지 큰 도움이 되고 있었다. 농촌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지급되는 급여는 한 달에 130만 원 정도. 숙식은 무료로 제공된다고 했다. 그런데 요즘 농가에서는 고민이 생겼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월 20만 원가량을 올려주지 않으면 도시의 공장으로 가겠다고 단체행동을 하고 나선 것이다. 농사를 짓는 사람들에게 외국인 노동자들은 절실히 필요한 일꾼이라 이들이 없으면 당장 농사를 짓는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농장 주인들은 불안하기만 하다. 그렇다고 임금을 올려주자니 농촌경제가 형편없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우리 농촌의 인력난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이다.
 
농촌의 인력난은 이미 위험수위를 넘어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인구는 296만5천명으로 300만 명 선이 붕괴 된 것으로 집계됐다. 한석호 농촌경제연구원 위원은 “1980년 1082만 명 수준이었는데 지난 30년 동안 무려 70%가 줄 들었다”면서 “매년 약 25만 명이 농촌에서 사라지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농업인구로 분류된 사람 중에도 직접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200만 명도 채 안 된다는 게 농촌경제연구원의 추산이다. 

전라남도 진도에서 고추 농사를 짓고 있는 김병섭 씨(73세, 남)는 평생 농사를 짓고 살아왔지만 이제는 농사를 그만둬야 할 처지다. 정부를 믿을 수도 없고 농사를 지어도 못 먹고 사는 현실이 답답하기 때문이다.

“요즘 방송을 보면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한다니까요.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죽을 지경인데 농촌경제가 살아난다고 하니 귀가 찰 노릇이죠. 저번에 높은 분이 텔레비전에 나와서 말하두만요. 지자체장들이 아무리 힘들다고 말을 해도 소통이 안 된다고요. 국민들의 소리를 안 들으려고 귀를 막아버렸는데 어떻게 소통이 되겠어요? 정치를 하는 사람들이 사업만 하려고 하니 농사를 짓는 현장의 어려움을 어떻게 알겠어요. 지금 농촌은 문제가 이만 저만이 아닙니다. 고추농사 같은 것만 해도 그래요. 작년에는 그래도 고추 값이 비싸서 괜찮았는데요. 고추농사가 정말로 힘들어요. 한 여름에 30~40도가 되는 때 고추를 따야 하거든요. 높은 양반들은 억만금을 준다고 해도 고추농사를 못 지을 겁니다. 이른 아침에도, 해가 지는 저녁에도 할 수 없는 게 고추농사예요. 익은 것을 구분해 내야 하니까요. 그렇다고 기계로 할 수 있냐면 그것도 아니죠. 한 여름철 대낮에 무조건 사람의 손을 빌어야 거둘 수 있는 게 고추농사니까요.”

이런 어려움 때문에 고추농사는 젊은 사람들이 귀농을 해도 기피하는 농사 중 하나라고 한다. 그렇다고 대량생산을 하자니 일손이 없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게 농촌의 현실이다. 이런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정부에서는 젊은 사람들에게 귀농을 권한다.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이 귀농을 했을 때 안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냐면 그것도 아니다.

“우리 나이든 사람들이야 이제 농사를 지어도 그만 안 지어도 그만이지만 젊은 사람들보고 귀농하라고 해 놓고 나 몰라라 하면 그 사람들은 어떻게 하냔 말이죠? 제발 부탁 좀 해줘요. 책상머리에 앉아서 머리로만 일하지 말고 현장에 나와서 농사짓는 사람들한테 현장의 목소리 좀 들으라고요. 정부에서 농촌을 지원한다고 해도 현장을 안 나와 보니까 쓸데없는 것만 지원한다니까요. 자기네들이 기업가들 살리려고 마지못해서 그러는 거지. 농촌을 살리려고 하는 게 아니어요.”


<MBC 이코노미 매거진 5월호 中> 구독문의 T 02-6672-0310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내란청산·사회대개혁 강원비상행동 “권성동 제명하라”
내란청산·사회대개혁 강원비상행동과 진보당·사회민주당은 28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불법 정치자금 수수·내란 동조 혐의 의혹을 받고 있는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제명을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통일교 전 간부로부터 1억 원의 정치자금을 지원받은 것에 이어 2022년 2~3월에 두 차례 한 총재가 기거하는 가평 청정궁을 방문해 한 총재에게 큰절을 하고 직접 쇼빙백을 받아갔다는 진술이 나오면서 특검 수사가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권성동 의원이 특검에 출석한 이후 그 의혹은 점차 명확하게 범죄 혐의로 밝혀질 것이라 예상됩니다. 누가 보더라도 명백한 불법 정치자금”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권 의원은 이른바 윤핵관의 대표주자로서 12.3 비상계엄을 방조하고 내란수괴 윤석열을 비호하며 내란행위를 정당화하는 데 앞장섰다”며 “12월 4일 계엄해제 표결 불참, 12월 7일 윤석열 탄핵소추안 표결 불참도 모자라 국민의힘 원내대표로서 내란특검법과 김건희 특검법, 윤석열 탄핵 2차 표결에 반대 당론을 이끌었다”고 했다. 또 “윤석열 체포 과정을 불법으로 매도하며 윤석열 비호에 앞장섰다. 지속적으로 내란에 동조하고 선동한 권성동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