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메뉴

경제


중앙대, 지난해 전형료 63억원

포항공과대, 1인당 8만5천원 받아

지난해 전국 각 대학이 수험생에게 걷은 전형료가 총 1,561억1천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윤관석 의원은 4일 국감을 앞두고 제출받은 자료를 공개하고 이같이 밝혔다. 윤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교육부가 대입전형 간소화를 추진 중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2014학번 보다 2015학번의 대입전형료가 1인당 300원 오른 50,600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낫다고 지적했다.


전국 대학교 중 가장 많이 전형료를 거둔 학교는 중앙대로 63억459만5천원을 거둬 들였다. 그 뒤를 이어 경희대학교(61억8,587만원), 성균관대학교(60억1,714만5천원), 고려대학교(54억9,472만5천원), 가천대학교(40억2861만5천원), 연세대학교(38억9492만7천원), 한양대학교(38억9272만9천원), 단국대학교(32억4522만5천원), 인하대학교(30억8565만원), 한국외국어대학교(29억8403만5천원) 순이었다.


또 각 대학별 대입전형료의 1인당 평균액을 산출한 결과 1인당 전형료가 가장 많은 학교는 포항공과대학교로 1인당 8만5609원을 납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대 1인당 대입전형료 평균액은 3만5,231원, 사립대는 5만4104원으로 사립대가 국립대보다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입전형료의 1인당 평균액 상위 30개 대학 중 73%가 서울소재의 대학이었다.


윤 의원은 "대입 수시에서 수험생별로 최대 6개 대학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한 명의 수험생당 최대 30~50만원 가량 전형료가 나갈 수 있다"며 "각 대학은 대입간소화 정책에도 줄어들지 않은 대입전형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며, 전형료의 거품을 빼 수험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낮춰야한다"고 지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민연금연구원, 소득하위 70% 기초연금 '원점 재검토'
정부가 노인 빈곤 완화를 위해 지급하는 기초연금의 수급자 선정 기준을 면밀히 점검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국민연금연구원은 기존 기초연금 선정기준 산출 모형을 정밀 분석하는 연구를 시작하기로 하면서, 제도 개편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4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연구원은 최근 열린 ‘2025년 연구용역심의위원회’에서 ‘기초연금 선정기준 기존 모형 분석’ 과제를 만장일치로 승인받았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보건복지부가 담당해 온 기초연금 선정 기준 연구를 연구원이 이관받아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 산출 방식에 오류가 없는지 철저히 점검하고 향후 제도 개선에 활용하려는 취지다.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 이하인 이들에게 지급되는 사회보장제도로,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이들의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 등을 월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이다. 현행법은 전체 65세 이상 노인의 소득 하위 70%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정부는 매년 소득과 재산 분포를 분석해 이 경계선을 금액으로 발표한다. 이번 연구에서 주목하는 ‘오류 가능성’은 소득과 재산 산정 방식,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