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금융


"올해 은행 평균 총주주환원수익률 8.5%로 오른다"

하나증권 기업분석실 “지난해 7.4%서 소폭 상승...하나·BNK·DGB금융 주목”

 

결산배당 규모와 배당기준일을 확정하지 않은 기업은행을 제외한 대부분 은행의 결산배당 기준일은 2월 28일이며, 은행별 결산 주당배당금(DPS)는 KB금융 804원, 신한지주 540원, 하나금융 1,800원, 우리금융 660원, BNK금융 450원, DGB금융 500원, JB금융 680원 등으로 나타났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중간배당을 포함한 2024년 은행 배당총액은 약 5.5조원(기업은행 DPS 1,040원 전망,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는 제외)에 달한다. 여기에 2024년 중에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가 약 2.1조원이었으므로 2024년 총주주환원은 약 7.6조원 규모다.

 

따라서 2024년 은행 전체 순이익인 20.8조원 대비 총주주환원율은 약 36.4%(배당성향 26.2%, 자사주 10.2%)로 연말 종가 기준 총주주환원수익률은 약 7.4%(배당수익률은 5.3%) 수준이다.

 

은행별로는 우리금융의 9.0%로 가장 높았고(배당수익률도 7.8%), 하나금융 8.7%(배당수익률 6.3%), 신한지주 7.5%(배당수익률 4.5%) 순으로 높았던 편이다. 다만 우리금융은 2024년 총주주환원율이 33.3%에 불과했지만 낮은 주가로 인해 총주주환원수익률이 높게 나타났던 것으로 판단된다.

 

올해 총주주환원수익률 8.5%로 상승 예상된다. DGB금융과 하나금융 가장 높을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5년 은행지주사 전체(기업은행 포함) 추정 순이익은 약 22.2조원으로 2024년 대비 약 6.7% 내외의 증익이 예상되고, 배당총액도 약 5.7조원으로 약 4.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자사주 매입·소각 예상 규모는 약 3.3조원으로 2024년의 2.1조원 대비 큰폭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순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은행 평균 총주주환원율은 40.4%(배당성향 25.7%, 자사주 14.7%)로 40%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전일 종가 기준 총주주환원수익률은 8.5%(배당수익률 5.4%) 수준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별로는 DGB금융 총주주환원수익률이 10.1%(기대배당수익률 6.9%)로 가장 높고, 하나금융과 신한지주도 9.7%와 9.3%로 (기대배당수익률은 각각 5.9%와 4.8%) 9%를 웃돌면서 업종 평균을 상회할 것으로 봤다.

 

최정욱 하나증권 기업분석실 팀장은 “지난해 당기순이익 ‘5조 클럽’에 입성한 KB금융의 상반기 주주환원 규모가 시장 기대를 하회한데다 정치적 이벤트를 앞둬, 규제 우려 확산 및 외국인 매도세 지속 등으로 은행주는 조정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며, “다만 1분기 양호한 이익 시현과 원/달러 환율 하락 전환에 따라 1분기 실적 발표를 기점으로 밸류업에 대한 기대감은 다시 제고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형은행지주 중 수익성 대비 벨류에이션 매력이 가장 뛰어난 하나금융과 펀더멘털 개선 추세 지속이 예상되는 BNK금융은 최대 선호주로 유지하고, 올해 총주주환원수익률이 은행 중 가장 높은 DGB금융은 관심종목으로 꼽는다”고 설명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김건희, 檢에 제출한 '불출석 사유'가 기가 막혀
파면 당한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씨가 검찰에 오는 14일 소환 요구에 "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씨 측은 이날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김 씨 측이 제출한 사유서에는 "특정 정당의 공천 개입 의혹에 관한 조사가 강행되면 추측성 보도가 양산돼 조기 대선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김 씨에게 오는 14일 검찰청사로 나와 정치자금법 및 공직선거법 위반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받으라는 출석요구서를 보냈다. 한편, 일각에서는 '명태균 게이트'를 수사 중인 검찰이 이번 김건희 소환조사 통보는 일종의 쇼이자 꼼수라는 지적이 있다. 이미 윤석열·김건희 부부에 대한 검찰의 수사 의지가 없다는 것은 '명태균 게이트' 관련 공천개입 의혹 수사에서 확인된 바 있다. 특히 여전히 심우정 검찰총장과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등 지휘부가 윤석열의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김건희 강제구인은 사실상 물건너 갔다고 보고 있다. 결국 김건희 수사는 검찰이 아닌 특검을 통해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나아가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선 특검을 통해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