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말 연체율은 분기말 상・매각 등으로 전월 대비 하락했다. 금융감독원은 9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39%로 전월말 대비 0.04%p 하락했다고 23일 밝혔다. 9월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2000억원으로 전월과 유사했고,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3조원으로 분기말 상・매각 등으로 전월 대비 1조6000억원 증가했다. 신규연체율은 0.10%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기업대출의 경우 현재 기업대출 연체율(0.42%)은 전월말(0.47%) 대비 0.05%p 하락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0.14%)은 전월말 대비 0.01%p 상승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0.49%)은 전월말 대비 0.06%p 내렸다. 중소법인 연체율은 전월말 대비 0.07%p 하락, 전년 동월말 대비 0.19%p 올랐다.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전월말 대비 0.04%p 하락했다. 가계대출 연체율(0.35%)은 전월말 대비 0.03%p 내렸고,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전월말과 유사했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0.65%)은 전월말(0.76%)대비 0.11%p 하락했다. 금감원은 "9월말 연체율은 분기말 상・매각 등으로 전월말 대비 하락하였으나, 신규연체율이
경제는 계속해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일자리가 많아서 근로자들의 공급을 앞지르고 있으며 소비자 들의 소비는 거침이 없다. 인플레이션을 촉박하고 있는 일부 영역들-이를테면 가구와 음식은 침몰한 반면, 다른 것들 이를테면, 에너지는 다시 오르고 있다. 올해 9월에 미국 중앙은행은 기준 금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았지만 이자율은 시장이 기대하는 것보다 더 높이 길어질 것이라는 신호를 보냈다. 많은 기업들 입장에서 보면 그런 신호 는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뜻했다. “우리는 지금까지 말이죠. 최선의 전략이라는 게 그저 숨을 멈추고 자본코스트, 즉 자본이자가 다시 내려가기를 기다리는 뭐 그런 환경에서 살아왔잖아요.” 컨설팅 회사 EYParthenon의 수석 경제학자인 그레고리 데컴(Gregory Dacom)이 말했다. “우리가 알아차리기 시작한 사실은 기업주들, 그리고 어느 정도의 소비자들 역시, 그들이 살기 위해 헤엄을 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죠.” 그의 말을 대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투기적 성격의 베팅에 돈을 쓰기보다는 곧바로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것에 투자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지난 몇 년 동안 확산이 되었던 스타트업의 입장
금융감독원이 20일 발표한 ‘2023년 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1~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은 19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14조1000억원 대비 5조4000억원(38.2%) 늘었다. 다만 3분기만 놓고 보면 5조4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조6000억원 감소했다. 금감원은 대출 등의 증가로 이자이익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금리상승에 따른 채권 평가·매매손실 등으로 비이자 이익이 감소하고 지분 손상차손 등으로 영업외손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3분기 국내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58%로 직접 2분기대비 0.2%p 하락하고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7.87%로 2분기보다 2.78%p 하락했다. 3분기 누적기준으로 ROA는 0.69%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보다 0,15%P, ROE 9.41%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6%p 상승했다. 올해 1~3분기중 이자이익은 44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8.9% 증가한 40조6000억원, 3분기 국내은행 이자이익은 14조8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000억원 증가했다. 올해들어 3분기 연속 순이자마진(NIM)이 하락하고 있으나, 대출 등 이자수익자산 증가로 이자이익은 소폭 증가했다. 올
6월말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지난해 말보다 9.0%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196.6%로 지난해 말(187.6%) 대비 9,0%포인트 상승했다고 8일 밝혔다. 자본적성성 비율은 금융복합기업집단이 최소 자본요구기준과 위험자산자본을 더한 통합필요자본 이상으로 손실흡수능력(통합자기자본)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들어다 보는 지표다. 같은 기간 자기자본은 121조1000억원에서 176조5000억원으로 55조4000억원 증가했다. 보험권 지급여력비율(K-ICS) 도입으로 보험계열 기업집단의 보험계약마진(CSM)의 가용자본 인정, 보험부채 시가평가 등 통합자기자본이 증가했다. 필요자본도 늘었으나 통합자기자본보다 상승폭이 적었다. 필요자본은 같은 기간 64조6000억원에서 89조8000억원으로 25조2000억원 늘었다. 킥스(K-ICS)에 따른 보험계열 기업집단의 신규 보험위험(장수·해지·사업비·대재해 등) 추가 및 주식위험 증가에 따른 시장리스크 증가 등에 따른 리스크가 높아진 영향이다. 금융복합기업집단별로는 교보(69.6%p), DB(46.1%p), 한화(22.4%p), 미래에셋(9.9%p)은
2023년 3분기 중 외국환은행의 일평균 외환거래(현물환 및 외환파생상품 거래) 규모는 643억2000만 달러로 전분기(693억7000만달러) 대비 50억5000만 달러(-7.3%) 감소했다. 상품별로는 현물환 거래규모가 241억3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43억4000만 달러 감소했으며, 외환파생상품 거래규모는 401억9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7억1000만 달러 감소했다. 한국은행은 계절적 요인에 더해 환율 변동성 축소, 수출입 규모 감소 등으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외환거래 규모는 여름 휴가철인 8월 중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 10년간 평균 외환거래 규모를 보면 3분기 거래규모는 2분기 대비 3.4% 감소했다. 상품별로는 현물환 거래규모가 241억3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43억4000만 달러(-15.2%) 감소했으며, 외환파생상품 거래규모는 401억9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7억1000만 달러(-1.7%) 감소했다. 은행별로는 국내은행의 거래규모가 305억2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10억5000만 달러(-3.3%) 감소했고, 외은지점의 거래규모는 338억 달러로 전분기 대비 40억 달러(-10.6%) 감소했다. 3분기 중 현물환
금융감독원이 시민층을 위한 새희망홀씨 지원대상 소득기준을 완화하고, 청년 우대금리 적용을 확대했다. 새희망홀씨 대출은 저신용·저소득 서민층에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빌려주는 상품이다. 금감원은 1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새희망홀씨 운용규약' 개정을 완료해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상반기 중 지속적인 공급확대 노력으로 1분기 6천457억원에서 2분기 7천766억원으로 공급이 20.3%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상반기 은행권 새희망홀씨 공급 실적은 1조4,223억원(79,346명)으로 전년 대비 2,014억원(16.5%↑) 증가했다. 각 은행별 공급 규모는 농협(2,430억원), 국민(2,304억원), 하나(2,105억원), 신한(2,012억원), 기업(1,500억원), 우리(1,142억원) 순이다. 상반기 평균금리는 7.8%로 전년 동기 대비 0.8%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기준금리 인상폭(1.75%포인트)의 50%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연체율은 1.6%로 전년 동기(1.4%)보다 소폭 올랐다. 각 은행은 새희망홀씨 공급을 활성화를 위해 청년우대 금리 적용 대상을 만29세 이하에서 만34세 이하로 확대하는 운용규약을 개정했다. 금감원은 "하반기에도
지난 7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39%로 전월 대비 0.04%포인트 올라 전년 동기 대비 0.17%포인트 상승했다. 금융감독원은 7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이 2조원으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이며,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1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원이 감소했다고 19일 밝혔다. 7월중 신규연체율은 0.09%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이었고, 전월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41%로 전월 대비 0.04%포인트 올랐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1%포인트 상승했으며,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6%포인트 상승했다. 중소법인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6%포인트 올랐고,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4%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3%포인트 상승한 0.36%를 기록했다. 신용대출 등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9%포인트 상승했다.
올 2분기 국내은행의 부실채권(NPL) 비율이 1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 국내 부실채권 비율은 0.41%를 기록했다. 부실채권은 10조5000억원으로 전분기말과 비교하면 1000억원 증가했다. 기업여신은 8조2000억원으로 가장 컸으며 가계여신 2조2000억원과 신용카드채권 2000억원이 뒤를 이었다. 신규 부실채권은 4조원으로 전분기보다 1조원 증가했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은 2조8000억원으로 전분기 1조9000억원 보다 9000억원 증가했다. 또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1조원으로 전분기와 유사했다.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3조9000억원으로 전분기와 비교하면 1조2000억원 증가했다. 대손충당금적립률은 2분기 말 기준 226.4%로 전분기말(229.9%)보다 3.5%p 하락했다. 금감원은 "6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전분기말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는 등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이라며 "다만, 최근 중국 부동산시장 불안 및 미국 국채금리 상승 등 대외 불확실성 확대에 대비하여 선제적인 자산건전성 관리를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