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해마다 반복되는 집중호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홍수예보를 실시했다고 5일 밝혔다.
홍수 예보란 하천수위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홍수특보 기준수위를 도달·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를 뜻한다. 하천의 계획홍수량 50% 초과 예상시 홍수주의보, 70% 초과 예상시 홍수경보가 발령된다.
환경부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홍수특보 발령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었고, 전년 대비 약 3배 늘어난 지점(75개-223개)에 대해 홍수특보를 신속하게 발령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홍수 발생 전에 하천의 수위를 예측하는 홍수특보뿐만 아니라 전국에 설치된 수위관측소(673개)에서 하천수위를 1분 주기로 관측(모니터링)해 제공하는 홍수정보를 관계기관에 총 2,495건을 신속하게 발령할 수 있었다.
올해 집중호우로 7월 10일 충청권(금산군 유등천, 옥천군 서화천), 7월 18일 수도권(오산시 오산천, 이천시 복하천), 9월 21일 경남권(김해시 조만강) 등 일부 지역은 하천수위가 계획홍수위를 초과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지만, 사전에 홍수특보 발령사항 등을 지자체에 즉시 전파해 주민들을 대피시키고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계획홍수수위는 하천 설계 시 정하는 하천의 최대 수위로 하천에 물이 최대로 흐를 수 있는 수위를 말한다.
하천의 수위 예측과 함께 도시지역 침수에 대해서도 차질없이 예보했다. 작년 서울(도림천)에 이어 올해에는 광주(황룡강), 포항(냉천), 창원(창원천) 지역까지 확대해 도시침수 예보를 실시했다. 하천 및 하수관로 수위 등을 확인해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 등을 지자체에 총 56회 알렸으며 저지대 지역의 주민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7월부터는 차량 운전자가 홍수경보 발령지점이나 댐 방류지점 부근을 진입 시 내비게이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을 도입해 41건의 홍수경보 발령 정보와 64건의 댐 방류 정보를 알려 위험지역에서의 운전을 주의하도록 했다.
환경부는 홍수에 취약한 지방하천 20곳을 국가하천으로 승격해 국가가 직접 관리하고 예산 투자를 확대해 하천 정비 등을 순차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올해 국가가 직접 정비를 시행하는 ‘국가하천 배수영향구간’ 411곳을 지정해 우선 시급한 20곳에 대해 정비할 계획이다.
김구범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예년에 비해 강하고 많은 비가 일상화되고 있는 만큼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데 국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올해 처음으로 도입한 스마트 홍수 알리미 체계를 앞으로도 차질없이 운영하고 댐과 하천 관리를 철저히 해 국민들이 홍수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