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은행이 부산으로 이전하게 되면 유관기관들과 협조가 어려워집니다. 정책금융이 원활하게 운영되지 못하면 국가 경제에 많은 손실도 발생되고요.”
10일,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와 만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한국산업은행지부조합원 A씨는 “만일 본사가 부산으로 이전했다가 여건이 안 돼 다시 서울로 이전할 경우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는 것”라며 이같이 말했다.

금융노조 산은지부 부산 이전 규탄 결의대회가 열린 현장에는 기관 경쟁력 상실, 정책금융 역량 축소, 경제위기 대응능력 저하 등 금융산업 전반에 발생할 심각한 부작용을 우려한다는 목소리가 많았다.
이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회사채·CP(만기 1년 이하 단기채권) 인수 프로그램, 기업유동성지원기구, 기간산업안정기금 등 정부가 주도하는 금융지원 정책 대다수를 산은이 도맡아 수행하고 있다"며 "신속한 수행을 해야 하는 산은이 부산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타당한 지를 재고해 주길 바란다”고 정부에 요청했다.
또 뉴욕, 런던, 싱가포르 등 국제 금융중심지는 모두 금융 인프라를 한데 모아 집중해 금융경쟁력을 높이고 있다며 해외사례도 거론했다.
금융노조 산은지부는 "금융위원회도 이러한 추세에 맞춰 2009년부터 서울 여의도를 종합 금융중심지로 지정해 동북아 금융허브 육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며 “그럼에도 현 정부는 산은을 부산으로 옮겨 지난 수십년 금융중심지 육성 노력을 한순간에 물거품으로 만들려고 한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다만, 일각에서 제기되는 ‘산은 직원들이 주거와 자녀 교육문제 등 개인적 사유에 의해 부산 이전을 반대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 A씨는 “사실이 아니다”며 “직원들 거주 여건보다는 부산 이전에 대한 국가적 손실여부로 부산 이전을 반대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달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출석한 강석훈 산은 회장은 부산 이전 추진과 관련해서 “1분기 중 지방 이전 대상기관으로 지정되는 프로세스(과정)를 밟을 예정”이라고 발언했었다.
한편, 산은은 지난 1월 팀장, 팀원 인사를 통해 본사 직원 45명을 부산으로 발령내며 (본사)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