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경제인협회가 의뢰한 설문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6명이 ‘물가 안정’을 가장 시급한 민생 과제로 꼽았다.
한경협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를 통해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0.9%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선택했다고 20일 발표했다.
뒤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17.6%로 2위를 차지했으며,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57.2%)부터 60대 이상(60.7%)까지 전 세대에서 ‘물가 안정’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이외에 20대 이하와 50대에서는 ‘양질의 일자리’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30대에서는 주거 문제와 일자리가 동일한 비중(각 16.9%)으로 중요 과제로 지목됐다.
‘민생 경제에서 가장 체감되는 어려움’을 묻는 항목에서는 절반 이상인 53.5%가 ‘생활비 부담 증가 및 고물가’를 꼽았다. 이어 고용 불안(11.3%), 주거비 상승(10.0%), 경기 둔화(7.2%), 실질 소득 감소(6.8%) 등이 뒤따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초반으로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지난 수년간 누적된 물가 상승으로 인해 국민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는 2016년 95.78에서 2020년 100으로 오르며 4.4% 상승했고, 이후 2025년 4월 기준 116.38로 5년간 16.4% 추가 상승했다.
정부가 추진해야 할 물가 안정 방안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이 35.9%로 가장 많이 지목됐고, 다음으로는 공공요금 부담 완화(21.8%), 수입 물가 관리(17.2%), 세금 부담 경감 및 생활비 지원(17.1%) 등이 뒤를 이었다.
일자리 관련 정책으로는 청년, 여성,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고용 지원이 31.9%로 1위를 차지했고, 첨단산업 일자리 창출(21.0%), 근로환경 개선(20.6%),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육성(20.0%)이 뒤를 이었다.
주거 안정 대책으로는 주택공급 확대와 부동산 시장 안정화가 36.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전·월세 가격 안정 및 세입자 보호(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16.1%), 주택금융 및 세제지원 확대(13.2%)가 이어졌다. 특히 수도권 거주자의 39.6%가 공급 확대를 우선 과제로 꼽아 비수도권(33.5%)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해법으로는 교통·물류 인프라 개선(31.4%)과 전통시장·관광 활성화(23.1%)가 제시됐고,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책으로는 내수 진작 및 판로 확보(27.1%), 세제 혜택 확대(25.8%) 등이 제안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며 서민 경제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농산물 수입 다변화, 유통 개선 등을 통한 가격 안정과 민간 주도의 일자리 창출 여건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