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생활비, 가장 힘들다”... 국민이 꼽은 1순위 민생 과제는 ‘물가’

한경협 설문조사…농축산물·생필품·공공요금 등 부담 지적

 

 

한국경제인협회가 의뢰한 설문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6명이 ‘물가 안정’을 가장 시급한 민생 과제로 꼽았다.

 

한경협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를 통해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0.9%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선택했다고 20일 발표했다.

 

뒤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17.6%로 2위를 차지했으며,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57.2%)부터 60대 이상(60.7%)까지 전 세대에서 ‘물가 안정’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이외에 20대 이하와 50대에서는 ‘양질의 일자리’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30대에서는 주거 문제와 일자리가 동일한 비중(각 16.9%)으로 중요 과제로 지목됐다.

 

‘민생 경제에서 가장 체감되는 어려움’을 묻는 항목에서는 절반 이상인 53.5%가 ‘생활비 부담 증가 및 고물가’를 꼽았다. 이어 고용 불안(11.3%), 주거비 상승(10.0%), 경기 둔화(7.2%), 실질 소득 감소(6.8%) 등이 뒤따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초반으로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지난 수년간 누적된 물가 상승으로 인해 국민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는 2016년 95.78에서 2020년 100으로 오르며 4.4% 상승했고, 이후 2025년 4월 기준 116.38로 5년간 16.4% 추가 상승했다.

 

정부가 추진해야 할 물가 안정 방안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이 35.9%로 가장 많이 지목됐고, 다음으로는 공공요금 부담 완화(21.8%), 수입 물가 관리(17.2%), 세금 부담 경감 및 생활비 지원(17.1%) 등이 뒤를 이었다.

 

일자리 관련 정책으로는 청년, 여성,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고용 지원이 31.9%로 1위를 차지했고, 첨단산업 일자리 창출(21.0%), 근로환경 개선(20.6%),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육성(20.0%)이 뒤를 이었다.

 

주거 안정 대책으로는 주택공급 확대와 부동산 시장 안정화가 36.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전·월세 가격 안정 및 세입자 보호(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16.1%), 주택금융 및 세제지원 확대(13.2%)가 이어졌다. 특히 수도권 거주자의 39.6%가 공급 확대를 우선 과제로 꼽아 비수도권(33.5%)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해법으로는 교통·물류 인프라 개선(31.4%)과 전통시장·관광 활성화(23.1%)가 제시됐고,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책으로는 내수 진작 및 판로 확보(27.1%), 세제 혜택 확대(25.8%) 등이 제안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며 서민 경제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농산물 수입 다변화, 유통 개선 등을 통한 가격 안정과 민간 주도의 일자리 창출 여건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