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특별히 늦지 않게 국민들께 백신 접종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그렇게 믿고 있고, 또 준비를 잘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박병석 국회의장, 김명수 대법원장, 유남석 헌법재판소장, 정세균 국무총리,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장 등 5부 요인과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요즘 백신 때문에 또 걱정들이 많은데 아마 백신에 있어서도 그동안 그 백신을 생산한 나라에서 많은 재정지원과 행정지원을 해서 이제 백신을 개발했기 때문에 그쪽 나라에서 먼저 접종이 되는 것은 그것은 어찌 보면 불가피한 일"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뭐니 뭐니 해도 코로나 상황이 어렵고, 또 그 때문에 우리 경제가 어렵고, 또 그로 인해서 소상공인, 자영업자들, 청년들, 이런 서민들의 민생이 아주 어렵다"라며 " 다행스럽게도 우리가 방역에서는 지금까지 아주 모범국가로 불릴 정도로 잘 대응을 해왔다. 앞으로도 우리 국민들의 높은 시민의식과 또 공동체 의식으로 코로나를 잘 극복해 낼 수 있다고 그렇게 믿는다"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경기 면에서는 점차 회복돼간다 하더라도 이번에 어려움을 겪었던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들, 이분들의 어려움의 후유증은 아주 오래갈 것이라고 예상이 된다"라며 "또 고용은 경기가 회복되고 난 이후에도 아주 서서히 뒤따라서 회복이 되는 법이기 때문에 일자리의 어려움도 오랫동안 지속되리라고 생각이 든다"라고 우려했다.
문 대통령은 "그것이 가장 마음이 무거운 일인데 그런 취약계층들의 어려운 삶 그리고 또 고용, 이것을 회복 시켜 나가는 데에도 총력을 다 기울이겠다"라며 "이런 우리 사회의 어려움을 우리가 이겨나가는 데 헌법기관장님들께서도 함께 마음을 해 주시고 또 힘을 모아주시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를 두고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 총장의 갈등이 정점으로 치닫는 상황을 언급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한편으로 요즘 권력기관 개혁 문제로 여러 가지 갈등들이 많다"라며 " 우리의 헌법 정신에 입각한 견제와 균형의 민주주의가 더 성숙하게 발전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리라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이어 "그러나 당장은 그로 인한 갈등들이 있고, 그것을 또 우리의 완전한 제도로 정착시키면서 발전시켜나가야 되는 그런 과제들도 여전히 남아있다"라며 " 그 점에 대해서도 헌법기관장님들께서 각별히 관심을 가지고 힘을 모아주시기를 바란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