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중앙과학관(관장 배태민, 이하 중앙과학관)은 8일부터 국내에서 발견된 유일한 철운석인 ‘가평운석’을 자연사관에 전시한다고 7일 밝혔다.
가평운석은 1999년 경기도 가평군 칼봉산 인근에서 발견됐다. 발견당시 크기는 약 40x30x20cm, 무게는 180kg였지만 표본 처리 과정에서 5개의 조각으로 절단됐다.
중앙과학관은 이들 조각 중 가장 큰 것을 전시할 예정이며, 무게는 약 72kg이다.
가평운석을 구성하는 광물은 대부분 철과 니켈로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유일한 철운석이다.
배태민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자연사관을 방문하는 관람객은 누구나 우주의 선물인 운석을 손으로 직접 만져서 그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전시했다”며 “관람객들이 운석에 대한 탐구를 시작으로 지구를 포함한 태양계의 기원과 조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우주에 대한 꿈을 키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운석은 우주 공간을 떠돌던 혜성, 소행성, 유성체 같은 성간물질들이 지구의 중력에 의해 이끌려 지구에 떨어진 고체 덩어리를 말한다.